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TiO2 나노물질을 함유한 시멘트의 환경오염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5-22 00:00:00.000
내용 CNRS, INERIS(UnitEs NOVA), 버지니아 테크(Virginia Tech)의 연구진은 TiO2 나노물질이 포함된 시멘트가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동안에 TiO2가 얼마 정도 방출되느지를 조사했다. 시멘트는 안정한 물질이 아니고 거친 환경 조건(비, 동결/해동 사이클)에 노출되면 분해 및 풍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시멘트의 다공성이 TiO2의 방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고, 수생 동물에 독성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TiO2 나노물질을 함유한 광촉매 시멘트는 포장 블록, 도로 표면, 벽 패널 등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 나노물질은 시멘트 자체 세정 및 공기 정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12년에 유럽에서 매년 4,000 톤의 광촉매 시멘트가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의 총 시멘트 생산량(2014년에 235.5 백만 톤)에 비해서 소량이지만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시멘트 가속 풍화는 실험실에서 테스트했다. 7일 동안 TiO2 나노물질을 함유한 세 종류의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를 물속에 넣었다. 그 후에 물을 화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멘트에서 침출된 TiO2 나노물질의 존재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TiO2 나노물질이 나노입자 상태로 방출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3 개의 시멘트는 초기 공극률이 달랐다. 시멘트의 다공성이 높을수록 TiO2 나노물질 방출률이 더 높았다. 즉, 시멘트의 다공성이 30 %, 40 %, 50 %일 경우에 각각 9.6 %, 14.1 %, 41 %로 나노입자 방출이 증가했다. 또한 TiO2 나노물질의 방출 속도는 물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방출된 TiO2 나노입자들의 직경은 70 ~ 312 나노미터(평균 크기 148 nm)이었다. TiO2 나노물질은 높은 방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건물 철거, 폐기물 관리/저장 등의 단계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향후에 다른 나노물질에 대한 환경 방출 여부를 철저하게 조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나노물질에 대한 환경오염 문제를 미리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Environmental Pollution에 ldquo;Environmental exposure to TiO2 nanomaterials incorporated in building material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1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산화티타늄; 나노물질; 나노입자; 환경오염; 시멘트 2. titanium oxide; nanomaterial; nanoparticle; pollution; 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