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UB버클리대학 연구진, 영장류와 유사한 점프력을 지닌 최고의 수직점프로봇 개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12-08 00:00:00.000
내용 UC버클리대학의 로봇공학자들이 수직으로 도약할 경우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작고 귀여운 점핑로봇을 만들어낸 것으로 나타나 로봇공학의 새로운 결과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일명 Salto라 불리우는 이 로봇은 지리적 장애물 위에 도약하는 능력을 지녔으며 공중에서도 도약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더 높은 위치를 향해 도약하기 위해 벽을 활용하는 기술도 접목되었다고 한다. 해당 로봇의 전체 길이는 약 10인치 정도가 되는데도 불구하고 고정된 자세에서 도약할 경우 약 39인치의 높이를 점프할 수 있다고 한다. 상기 로봇의 우수성은 사이보그와 같이 연속적으로 다수의 수직점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이론적으로 충분한 벽과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원을 활용한다면 Salto는 대기권을 벗어나 점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물론 장기간 얼어붙을 만한 온도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이 로봇의 디자인은 갈라고원숭이를 모티브로 삼아 개발되었는데 이 원숭이는 생태계에서 가장 최고의 수직점프력을 보유한 생물 중 하나로 거의 28피트에 달하는 높이에 도달하는데 5번의 점프로 약 4초 만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UC버클리의 로봇공학자인 Duncan Haldane씨는 갈라고원숭이가 웅크리고 머무른 시간이 많아질수록 이들이 점프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에너지가 생성되고 이 에너지를 점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많아지는 방식을 본따 로봇을 고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Salto 로봇의 수직점프에 대한 기민성은 초당 약 1.75미터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연구진들은 갈라고 또는 인간과 유사한 점프를 위한 적절한 배치와 속도, 그리고 거리와 같은 선택적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지형지물을 활용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창조하내기 위해 파쿠르 또는 갈라고원숭이의 움직임을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향휴 유사한 로봇이 수색 및 구조와 관련된 임무에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해당 로봇과 관련된 연구결과는 사이언스로보틱스 저널에 지난 화요일 소개된 상황이며 아래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출처: http://robotics.sciencemag.org/content/1/1/eaag2048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9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점핑로봇; 무한 수직점프; 로봇공학 2. jumping robot; unlimited vertical jump; rob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