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4차원 전자 현미경
기관명 | NDSL |
---|---|
작성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작성일자 | 2017-11-27 00:00:00.000 |
내용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의 연구진은 공정 변태(eutectic transformation) 단계를 이미지화하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공정 변태는 냉각 시에 액체가 두 개의 고체상으로 변화되는 단계이다. 이번 연구진은 4차원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서 이것을 달성했다. 4차원 전자 현미경은 나노크기와 나노세컨드 수준의 높은 분해능을 가진다. 공정 반응 동안에 원자는 매우 높은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료까지 100 나노세컨드밖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나노구조 속의 공정 반응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공간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높은 분해능을 가진 4차원 전자 현미경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진은 레이저 가열 펄스로 공정 반응을 개시시켰다. 그 후에 단일 전자 펄스 이미지로 고체상이 핵생성되고 성장하고 응고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금 나노입자로 코팅된 GaAs 나노와이어가 조사되었다. 두 개의 구성요소를 가진 공정 반응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세 개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Au-Ga-As 시스템의 조사로 더 복잡한 재료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공정 반응을 성공적으로 포착한 4차원 현미경은 광화학에서부터 생물학까지 다양한 재료 시스템을 조사하는데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나노구조 합금 및 납땜 설계 등과 같은 분야에 적용되어서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ldquo;Dynamics and control of gold-encapped gallium arsenide nanowires imaged by 4D electron microscopy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
출처 |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335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1. 공정 반응; 전자 현미경; 변태; 나노크기; 나노세컨드 2. eutectic reation; elelctron microscopy; transformation; nanoscale; nanoseco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