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국제 공동 연구 분야에서 세계 4위를 차지한 중국 과학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2-18 00:00:00.000
내용 《Nature》잡지는 일전에 2016년도 ' Nature Index 2016 Collaborations '를 발표했는데 중국은 현재 국제과학연구협력의 중심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학원 (Chinese Academy of Sciences)은 국제 협력중에서 탁월하여 중국의 국제 공동 연구의 선두이면서 전세계 공동 연구부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Nature Index는 국제 저명 학술 출판 Nature Pulbishing group (NPG)이 2014년 말에 도입된 것인데 NPG는 국제적으로 최상급 68개의 학술지를 출판하는데 57,000편을 실고 있다. Nature Index는 과학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권위는 논문의 높은 수준과 함께, 주요 학분 문야의 유명한 과학자들이 선정하고 전세계 10만 명의 과학자들이 인터넷으로 조사 검증한다는 것을 모두 인정하는데에 있다. Nature Index 홈페이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나라가운데서 제 4위에 위치하는데 미국, 독일, 영국 다음이다. 그 가운데, 중국과 미국의 연구 협력이 가장 많다. 미국과 중국은 이미 국제 공동 연구의 가장 주요한 관계 대상으로서 양국 공동 연구의 수치가 가장 높을 뿐 아니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2부터 2015년까지 기간 동안 중미 쌍방의 연구 협력은 80%나 늘어났다. 그 외에 중국과 비교적 공동 연구가 많은 나라는 독일, 영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및 프랑스이다. 연구 기관별로 분석한 것에 따르면, 165개 국가의 2000개의 연구 기관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100개의 기관을 뽑았다. 여기에는 미국 항공 우주국 (NASA),프랑스국가 과학 연구원 (CNRS),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이태리 국가천체물리연구소 (INAF)등 국제적으로 지명도 높은 연구 기관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하버드대학, 캠브리지대학, 옥스포드대학, Caltech, UC Berkeley분교 등과 같은 학교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 100개 기관 가운데 중국과학원은 4위에 랭크되었고, 중국과학원대학은 11위를 차지했다. CNRS, INAF,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이 상위 1, 2, 3위를 차지하였다. 그 외에도 22개의 중국 기관들이 100위 안에 포함되었는데, 그 가운데 천진대학이 7위, 남경우전대학이 16위, 북경대학이 20위를 차지하였다. 중국과학원과 협력하는 해외 연구 기관 가운데서는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 CNRS, 조지아테크, 하버드대학, 스탠포드대학, 독일 헬름헤르츠 연구소 연합, 이태리의 INAF, 싱카포르 국립대학, 옥스포드대학, 시카고대학등이 있다. 이러한 자료가 보여주듯이, 중국과학원의 국제협력 대상이 주로 세계 일류급 기관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ature 잡지의 보고에서는 연구 분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중국은 주로 화학영역에서 국제협력에서 앞서가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과학원은 기관으로서는 전세계 1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과학원이 화학영역에서 국제적인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보여주었다. 생명과학 영역에서의 국제 협력은 100%이상 성장하였다. 보고에서는 과학연구 협력에서 중국의 한 도시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지만 (즉 한 개의 도시의 과학 연구 기관과 협력) 중국이 국제적인 시야와 경험을 가진 연구자들이 많아지면서, 중국도 계속하여 국제 연구 협력의 규모와 깊이 면에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중국과학원은 현재 매우 ldquo;솔선하여 행동하자 rdquo;라는 구호 아래 활발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앞서가는 일류 과학연구기관을 건설하는 것이, 중국과학원의 중요한 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광범위하면서 깊이 있는 국제 수준의 연구 협력이야말로 세계 일류 연구 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한 한 가지 특징이다. 또한 이것이야말로 세계 일류 연구 기관이라는 표지가 될 것이다. 중국과학원은 현재 국제협력을 시작하면서, 이를 발판 삼아서 국제 협력 기구 건설에 전력 투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제 수준의 거대 과학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학술적으로 특색과 영향력을 갖춘 연구센터와 혁신 센터를 몇 개 구축하고자 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14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중국과학원 2. C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