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세계 주요 홍수 위험 모델의 재검토 필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1-31 00:00:00.000
내용 전 세계 홍수 위험을 모니터링하는 주요 컴퓨터 모델 6개를 처음으로 비교한 결과, 제공하는 정보 사이에서 큰 불일치가 나타났다. 정부와 NGO뿐만 아니라 보험회사, 위험 분석가, 많은 기업까지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범람 위험이 가장 큰 지역을 파악한다. 6개의 모델에 대한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검토에 의하면 각 모델이 보여주는 위험 지역에는 60~70%의 불일치가 있다고 한다. 이 결과는 2014년 Global Flood Partnership 국제회의에서 아프리카의 홍수 위험 지역을 예측하는 시험 모델을 사용하면서 발견하였고, 리즈 대학(University of Leeds)의 Mark Trigg 박사가 연구를 주도하였다. Trigg 박사는 모델 간의 차이는 개발 과정에서 예상되는 부분이고 실패의 징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저널 IOPScience 에 발표되었고, 사용자와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도구에서 존재할 수 있는 변수들에 관해 더 잘 이해하고 개발자들이 모델을 개선할 기회라고 설명했다. 6개의 컴퓨터 모델 개발자들 모두 자신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연구자가 검토하는 데 동의했다. 홍수 위험 지역을 예측하는 기술은 모델을 통해 가능하더라도 홍수의 흐름과 범위에 대한 검증이 제한되어 10년도 예측하기 어렵지만 시뮬레이션에 대한 알고리즘의 발전은 앞으로 홍수 위험을 충분히 상세하게 모델링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연구자들은 말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수문학 및 지형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유럽이 홍수를 예측하는 데 있어 더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특히 이 모델과 이와 비슷한 다른 모델들의 결과가 세계 홍수 위험과 기후 변화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얼마나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내는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논문에서는 '일부 지역의 모델 간에는 일치되는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모델 간에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모델을 사용할 경우 홍수 위험에 대한 결론은 매우 다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Trigg 박사는 모든 개발자와 사용자는 개별 모델의 정확도가 높더라도 완전히 그 모델에 의존하기 전에 추가 개발 및 실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13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홍수 위험 모델 2. flood risk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