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세균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인공 지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12-18 00:00:00.000
내용 현미경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 지능이 임상 미생물학자들의 부족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AI)으로 강화된 현미경이 임상 미생물학자들이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혈액 감염을 진단하고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 과학자들은 자동화된 AI로 강화된 현미경 체계가 세균의 이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데 매우 능숙하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그 자동화된 시스템은 다음 5년 안에 20퍼센트의 기술자들이 은퇴 연력에 도달하면서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이는, 현재 고도로 훈련된 미생물학자들의 부족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진단 영역에서 기계 학습을 처음으로 증명해 보인 것이다. 더 개발하면, 이 기술은 임상 실험실의 능력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환자 간호를 빠르게 해줄 미래 진단 플랫폼의 기초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그 팀은 현미경 슬라이드로부터 고해상도 자료를 수집하도록 고안된 자동화된 현미경을 이용했다. 이 경우에, 혈류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나온 혈액 표본은 세균 수를 늘리기 위해서 배양되었다. 그 다음에 혈액 한 방울을 유리 슬라이드에 놓고 세균이 세포 구조를 더 잘 보일 수 있게 염료로 염색해서 슬라이드를 준비했다. 그 다음에, 그들은 mdash;포유류 시각령을 모형으로 하고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공 지능의 종류인 mdash;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 그 모양과 분포를 기반으로 해서 세균을 분류하도록 훈련시켰다. 이 특징들은 가장 흔히 혈류 감염을 일으키는 세 종류의 세균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선택되었다: 대장균을 포함하는 막대 모양의 세균, 포도상구균 종의 둥근 클러스터, 연쇄상구균류의 짝을 이룬 모양이나 사슬 모양. 25,000개 이상의 혈액 표본의 이미지와 임상 미생물학자들이 이미 확인한 세균의 이미지 100,000개 이상을 가지고 훈련시켜서, 그 기계 지능은 현미경 이미지를 세 가지의 세균군으로 분류하는 법을 배우고, 궁극적으로 거의 95퍼센트의 정확도를 이루었다. 인간의 개입 없이 그 알고리듬은 189개의 새로운 슬라이드를 93퍼센트 이상의 정확도로 분류했다. AI로 강화된 플랫폼은 미래에 완전히 자동화된 분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34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인공 지능; 혈액 감염; 진단; 세균 분류; 현미경; 복잡 신경망 2. artificial intelligence ; AI;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CNN; diagnosis; micro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