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NASA의 연구진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를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는 버튼 모양으로 성장되었다. 이 연구는 순수한 탄소로 만들어진 거의 보이지 않는 가닥이 우주 비행 분야에 매우 다재다능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탄소 나노튜브는 우수한 특성을 가진 전자 방출체(electron emitter)가 될 수 있다. 1991년에 발견된 이후로 이 구조는 유용한 전기적, 자기적,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번 연구진은 탄소 나노튜브를 고더드 검출기(Goddard #39;s detector)에 적용시켰다. 이 장치는 전자빔이 가속화되고 표적에 집속될 수 있도록 정전식 렌즈(electrostatic lens) 적층을 통과시키게 만들어졌다. 전자들이 샘플에 부딪칠 때, 이런 충돌은 샘플 내에 포함된 원소를 자극하고, 샘플의 화학적 구성을 식별할 수 있는 X-선을 생성한다. 이런 탄소 나노튜브의 적용은 장비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새롭게 개발된 탄소 나노튜브 기반의 전기장 방출기는 크기가 작고 원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샘플의 여러 부분을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새로운 나노기술을 접목한 분석기는 잘 작동할 것이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장애물은 남아 있다. 나노튜브 기반의 그리드(grid)를 매우 작은 패키지 속에 포함되도록 하고 이것을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NASA에서 향후 2 년 동안에 자금을 지원한다면 나노튜브 기반의 전자 탐침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탄소 나노튜브는 또 다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만약 탄소 나노튜브로 표면을 코팅한다면 샘플의 X-선 흡수를 방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탄소 나노튜브 코팅은 99.8%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매우 까맣게 보인다. 우주 망원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별빛을 차단하도록 망원경 가장자리에 성장시킨다. 또한 탄소 나노튜브가 적용된 계측기는 연안 지역의 자원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양 색상을 모니터링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