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혈액 속의 병원체와 독소를 제거하는 새로운 나노로봇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5-31 00:00:00.000
내용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연구진은 초음파로 구동되는 소형 로봇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혈액 속을 돌아다니면서 독소와 해로운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로봇은 생물학적 유체를 해독하고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진은 금 나노와이어에 혈소판과 적혈구 멤브레인의 혼합체를 코팅함으로써 나노로봇을 만들었다. 하이브리드 코팅은 나노로봇이 MRSA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를 묶어서 병원체에서 생성되는 독소를 흡수하고 중화하는 역할은 한다. 나노로봇의 몸체는 초음파에 반응해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은 나노로봇이 혈액 내의 표적과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해독 속도를 높이게 한다. 이번 연구진은 혈소판과 적혈구 멤브레인을 분리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코팅을 만들었다. 그 후에 고주파 음파를 이용해서 멤브레인을 융합시켰다. 마지막으로 특정 표면 화학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 나노와이어 위에 하이브리드 막을 코팅했다. 이 코팅은 생체 오염으로 알려진 프로세스로부터 나노로봇을 보호한다. 나노로봇은 인간의 머리카락보다 약 25배 더 작다. 그들은 초음파를 공급할 때 혈액 속에서 초당 35 마이크로미터까지 이동할 수 있다. MRSA와 독소로 오염된 혈액 샘플을 치료하기 위해서 나노로봇을 투입하는 실험에서 5분 경과 후에 처리하지 않는 샘플보다 처리한 샘플에서 박테리아와 독소가 3배 더 적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살아있는 동물 실험을 해야 할 것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금 대신에 생분해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나노로봇을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작은 로봇으로 병원체와 독소를 제거하게 하는 이 연구결과는 다양한 치료 및 생물 해독 분야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 개발에 유용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Science Robotics에 ldquo;Hybrid biomembrane-functionalized nanorobots for concurrent removal of pathogenic bacteria and toxins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126/scirobotics.aat0485).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0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나노로봇; 혈액; 병원체; 독소 2. nanorobot; blood; bacteria; tox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