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생화학적으로 불안정적인 상태가 될 수 있는 나노금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8-29 00:00:00.000
내용 미국 듀크 대학(Duke University), 카네기멜론 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켄터키 대학(University of Kentucky)의 연구진은 금이 항상 생물학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나노입자 형태의 금은 수생 잡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금의 알려지지 않는 독성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는 금도 독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진은 나노입자가 습지 환경에서 살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살충제와 비료를 서식지에 투여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단지 한 번에 한 개의 오염물질만을 조사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9 개월 동안에 저농도의 질소, 인, 구리 수산화물 나노입자를 습지대 메소코슴(wetland mesocosm)에 방출했다. 또한 추적이 가능한 소량의 금 나노입자를 방출했다. 그리고 나노입자가 메소코슴 내의 식물과 동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와 고체 금속 입자들이 생물학적 시스템 속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조사했다. 결과를 분석한 결과, 많은 금 나노입자가 산화되고 용해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다. 가장 안정적인 금 나노입자가 다른 것에 비해서 가장 낮은 안정성을 가졌다. 이런 금 나노입자가 산화되고 용해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에겔리아 덴사(Egeria densa)라는 미생물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미생물은 화학 물질을 분비해서 금속 영양소를 섭취한다. 특히, 에겔리아 덴서는 금 나노입자의 용해 반응을 촉진하는 화학물질을 배출했다. 이런 과정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종에 어떤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금 나노입자가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통상적인 생각을 뒤집는 결과이기 때문에 매우 놀랍다. 이런 결과는 실험실에서 얻을 수 없고, 복잡한 수생 환경에서만 얻을 수 있었는데, 이것은 실험실 환경과 실제 환경에서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Nature Nanotechnology에 ldquo;Gold nanoparticle biodissolution by a freshwater macrophyte and its associated microbiome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4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나노금; 나노입자; 용해; 미생물 군집 2. nanogold; nanoparticle; dissolution; microbi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