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영국 사이버보안 최고책임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개인정보 유출 경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3-15 00:00:00.000
내용 영국에서 가장 뛰어난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은 우리가 생활하면서 사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해커에 의해 악용되어 소중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마트폰, 시계, TV 및 운동량 추적기 등은 모두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돈을 강탈하거나 위협하는데 악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영국에서 설립된 국가사이버보안센터(National Cyber ​​Security Center, NCSC)와 국가범죄대응청(National Crime Agency, NCA)이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가정에서 인터넷 연결이 증가하면서 해커들이 이용자를 공격하고 정보를 탈취하는데 용이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수많은 양의 개인정보 저장된다. 각각의 기기들은 개인의 사진, 메시지, 운동 정보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개별 이용자의 소유자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고 보안전문가는 지적했다. 이러한 경고는 위키리크스(WikiLeaks)가 최근 미 정보기관인 CIA가 휴대폰과 스마트 TV를 감청할 수 있으며, 악용될 수 있다고 폭로한 이후 나온 것이다. 두 기관의 연구에서 올해 랜섬웨어(ransomeware)는 사진, 이메일, 심지어 운동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한 디바이스를 공격 목표로 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가치가 낮고 범죄 집단에 매매될 가능성이 낮지만, 디바이스와 해당 정보는 소유자들에게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막상 피해자가 되면 이에 대한 대가를 기꺼이 지불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계, 운동 추적기, 그리고 TV 등에 대한 랜섬웨어는 제조업체들에게 도전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이는데, 고객에 대한 지원이 디바이스 잠금 해제와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한 피해 보상 등에 대한 자문 등으로 확대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제품의 수와 종류가 급증하면서, 보안에 대한 일련의 경고가 촉발되고 있다. 아기에 대한 모니터와 맥박 조정기가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전 세계 기업 및 소비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의 수가 21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영국 NCSC와 NCA의 보고서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하면서 해커들에게 더 많은 공격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 기관은 보고서에서 스마트 기기에 대한 공격이 기존 컴퓨터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보다 본질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하고, 사고는 제3의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는 앱의 이용자에 제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자국 경제와 인프라에 대한 온라인 공격 우려가 증가하면서 정보통신본부(GCHQ)의 하부 조직으로 NCSC를 출범시켰다. 보고서에서 두 기관은 영국 기업에 대한 사이버위협이 심각하고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NCSC 설립 이후 3개월간 ldquo;높은 수준 rdquo;과 ldquo;수없이 많은 rdquo; 낮은 수준의 공격이 188건 발생했고, 이로 인한 위험은 매우 복잡하고 지속적인 형태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NCSC의 시아란 마틴(Ciaran Martin) 최고 경영자는 사이버 공격이 계속 진화할 것이며, 그러한 이유로 공공과 민간부문에 대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16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사이버위협; 사이버보안; 랜섬웨어 2. Cyber threat; Cybersecurity; Ransom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