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과학원 생물물리 연구소, 중국 국내 처음 다중 채널 원자 자기 계측기 완성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9-25 00:00:00.000
내용 최근,중국과학원 생물물리연구소가 중국 국내에서 처음으로 다중 채널 원자 자기 계측기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뇌의 자기도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품질의 뇌 자기신호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뇌자기도( Magnetoencephalography ,MEG )설비는 설비는 대뇌신경활동으로 만들어지는 두개골 바깥의 미세한 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신경활동이 일어나는 위치와 시간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뇌 이미징 기술과 비교하여 뇌자기도 시설은 기능성 핵자기공명 (functional MRI, fMRI)이 얻을 수 없는 뇌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고, 어느 공간에서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밀도가 뇌전도(electrooencephalography, EEG)보다 뛰어나며, 안전하며, 비침투성(noninvasive)이기 때문에, 뇌과학 연구가운데서 앞선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뇌자기도는 임상의학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간질이 일어나는 부위나 수술전 언어기능의 위치 등의 영역에서 특별히 중요하다. 전통적인 뇌자기도 설비는 초전도 양자 간섭계 (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ometer, SQUID) 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초저온에서 운전되기에 구입비용과 운전비용이 모두 높다. 또한, 탐침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두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적응성이 좋지 않아서 기술이 대중화가 어렵다. 는 고정되어 두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적응성이 좋지 않아 기술의 대중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원자 자기계를 이용하여 뇌지도를 얻고자 하는 시스템은 최근 등장한 기술로서, 상온에서 운전이 가능하며, 탐침도 두피에 가까워, 건설 / 운영비가 낮고, 높은 감도와 높은 적응력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만들어 질 수 있음)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뇌파 검사의 보급률을 높이고 더 많은 연구 및 임상 분야로 확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물 물리 연구소는 12 채널 원자 자기계 자기 뇌 기능 검사 프로토 타입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여기에는 96 개 채널의 맞춤형 3D 인쇄, 다양한 감지기 및 조정 가능한 뇌파계 헬멧 및 이미 성공적으로 얻어진 뇌자기 영상 신호 등 다양한 기술적인 혁신을 성취하였다. 기존의 SQUID 뇌파계와 비교하여 프로토 타입의 신호 대 잡음비는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일부 응용에서는 기존의 SQUID 뇌파계보다 훨씬 적은 프로브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혹은 더 높은 정밀도를 달성하였다. 전통적인 뇌자기 계측법이 어려웠던 소아 아동, 파킨슨환자 등에게도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어 발육심리학이나 뇌질병 진단 등의 영역에서 잠재적인 응용 가능성이 있다. 관련 연구는 생물물리연구소의 뇌 및 인지과학 국가중점 실험실에서 추진하였으며, 실험실에는 이미 중국 국내 최초의 과학연구용으로 3T, 그리고 7T(최고자장) 인간 자기 공명 영상 시스템 (MRI) 및 전통적인 뇌파 계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7T MRI는 방사능 피폭 위험 없이 다양한 고해상도 뇌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하여 뇌질환 및 기능 연구를 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성균관대학교와 독일 지멘스사는 7T MRI의 뇌과학에서의 응용을 위해 연구협력을 체결한 바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5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뇌자기도,간질,파킨슨,핵자기공명영상 2. Magnetoencephalography,epilepsy,Parkinson,Nuclear Resonance Im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