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T 세포 재프로그래밍 방법을 이용한 암치료용 면역요법 개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9-29 00:00:00.000
내용 암세포를 제거하는 면역 반응에서는 T 세포의 반응이 중요한데 CTL이 활성화되면 항원 인식 분자인 MHC class I형을 통하여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암세포는 인체내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물질을 스스로 분비하거나 암세포에 대한 항체생성에 필수적인 항원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인체는 암세포에 대한 cytotoxic T cell (CTL)를 활성화하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제거하지 못한다. 따라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면역요법으로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파괴하는 T 세포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치료용 cancer vaccine의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암백신은 암세포가 지니는 암 특이 항원을 암환자에게 투여하여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생체 내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면역 치료법이다. 최근 암 치료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새로운 면역요법이 개발되었다.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s School of Medicine의 James Wilson 박사 연구진은 암 치료제로써 균류 감염이나 박테리아성 감염을 표적화하는 T 세포를 reprogramming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암을 표적화하기 위해 현재는 disabled viruses를 사용하는데 이 바이러스는 T세포 속으로 새로운 유전 물질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다. 그런데 여러 단점이 있다.새로 개발된 방법은 전기로 T세포에 충격을 주어서 세포 주위 막을 완화해 새로운 유전적 재료가 보다 쉽고 빠르게 이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발성 경화증, 흑색 종 같은 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사람들을 대상으로 임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57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암치료,면역요법,T 세포,재프로그래밍,다발성 경화증 2. electric shock,immune cells,cancer therapy,gene-editing,a T cell,the immun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