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탄소 원자를 이용한 2차원 반도체 재료의 개질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6-03 00:00:00.000
내용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의 연구진은 반도체 물질인 텅스텐 이황화물의 단일 원자 층 속에 탄소-수소 분자를 도입함으로써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매우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새로운 유형의 에너지 효율적인 광전기적 장치와 전자 회로를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도체인 전이금속 디칼코게니드(dichalcogenide)는 도핑(탄소 첨가)하기 전에는 n-형 전자 전도성을 가졌다. 황 원자를 탄소 원자로 치환한 후에는 바이폴라 효과(bipolar effect)를 가지게 되었다. 바이폴라 효과는 p형-홀과 n형-전자를 동시에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양극성 반도체를 만들 수 있게 한다. 2 원자 % 정도를 첨가함으로써 특성이 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예상치 못했다. 탄소가 많이 도핑되면, 매우 높은 캐리어 이동도를 가진 p-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반도체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n+/p/n+과 p+/n/p+ 접합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반도체는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런 장치의 대부분은 다양한 종류의 트랜지스터이다. 노트북 속에는 약 100 조개의 트랜지스터가 존재한다. 이런 유형의 물질은 전기 화학적 촉매 작용에 우수하다. 반도체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다. 특정 조건 하에서 동시에 여러 공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2차원 물질의 도핑에 관한 논문은 거의 없다. 이번 연구진의 기술은 메탄이 분해되는 752℉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서 플라즈마를 사용했다. 또한 플라즈마는 원자 층에서 황 원자를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해서 탄소-수소를 황 원자와 치환시킨다. 단일 층을 도핑하는 것은 쉽지 않고, 캐리어 이동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번 연구진은 실험 연구를 이끌 수 있는 이론적인 계산을 제시했다. 즉, 2차원 물질의 도핑은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것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만들었다. 또한 탄소 치환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켰을 때 발생하는 트랜지스터 속의 캐리어 이동도 변화를 관찰했다. 음에서 양으로 전도 유형이 완전히 변할 때까지 전도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Science Advances에 “Carbon doping of WS2 monolayers: Bandgap reduction and p-type doping transport”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126/sciadv.aav5003).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2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탄소; 반도체; 디칼코게니드 2. carbon; semiconducting material; dichalcogen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