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5G 기술이 사물인터넷을 지원하기에 다소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6-02 00:00:00.000
내용 최근들어 초고속통신이 발달하고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발빠른 기기들 간의 이동통신 표준으로 5세대 이동통신이 5G기술이 조명받고 있는 가운데, 5G 표준이 방대한 기기유형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까지 실질적인 상업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되어 5세대 이동통신의 기술동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2020년까지 최초의 5G 사물인터넷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도입은 매우 천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까지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휴대용 사물인터넷 기기들은 약 3퍼센트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웨덴의 사물인터넷 분석업체인 Berg Insight社가 밝힌 내용에 의하면, 최초의 5G 셀룰서 사물인터넷 모듈이 올해 최초로 개발자들이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져 얼리어답터들이 5G 표준에 기반을 둔 최초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만들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상기 보고서의 작성자인 Tobias Ryberg씨는 4G 기술과 마찬가지로 초기의 5G는 네트워크 성능 및 데이터 용량을 향상시키는데 주로 활용될 것으로 예쌍되고 있어 연결된 차량들에게 필요한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나 보안용 카메라, 산업용 라우터와 같은 실질적인 상업적 사용에 있어서는 대규모 기기유형의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이 가능해야 하기에 이러한 기기를 위한 표준이 마련되기 전 까지는 상업적 변화가 발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한다. 또한 국토안보가 셀룰러 5G용 사물인터넷의 초기 도입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 국경과 같은 단일 방어체계로부터 인공지능의 지원을 받은 보안카메라를 통해 모든것을 모니터링하게 해줄 수 있는 대형 네트워크의 전개 또한 가능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해당 기술을 어떤 형태로 사용하고 누가 관리하는가에 따라 향후 수십 년 간 가장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이슈가 될 항목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보다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2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5G 표준; 사물인터넷; 기기유형의 통신 2. 5G standard; IoT; machine type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