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개미 미생물군에서 분리한, 약물내성 진균을 죽이는 화합물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4-06 00:00:00.000
내용 과학자들이 새로운 약물의 원천을 위해서 곤충과 공생하는 세균을 조사했다. 항균제 및 항진균제 내성은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의 큰 문제이다. 연구자들이 아타(Atta) 속 가위 개미와 공생하는 세균을 분리해서 새로운 약물이 될 잠재성을 가진 천연 화합물을 살피고자 했다. 그들은 시험관 및 생체 실험에서 사람에서 질병을 일으키며 현재 사용가능한 약물들에 내성을 가진 진균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보인 cyphomycin을 발견했다. 많은 항생제들이 흙에 있는 세균이 만드는 화합물들에서 유래한다. 이 세균의 대부분이 스트렙토미세스( Streptomyces) 속에 속한다. 연구자들은 곤충 몸에 있는 같은 집단의 사상균(filamentous bacteria)을 조사하기로 했다. 그 세균이 곤충이 병원균에 대항하여 방어하는 것을 돕는다면, 사람에서도 같은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 그들의 가설이었다. 그들은 아티니(Attini) 족의 가위 개미 외에도, 나비, 벌, 말벌, 나방들을 포함해서, 1,400 가지의 곤충을 모았다. 그런 다음에 수집된 곤충의 몸 속에서 발견되는 세균을 분리하고 실험실에서 정제해서 사람에서 병원균으로 작용하는 미생물에 대항해서 실험관에서 시험했다. 효과를 보인 경우에 대사체학(metabolomic) 분석을 통해 그것이 만드는 대사체를 분석해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계통발생(phylogenetic) 연구에서 유전자 서열을 밝혀서 그 곤충과 연관된 세균이 흙에서 사는 스트렙토미세스 종과 얼마나 닮았는지를 조사했다. 그들은 질량 분석과 계량화학(chemometric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합해서 곤충 미생물군이 만드는 화합물들을 조사했다. Cyphomycin은 세균에는 효과가 없지만, 아스페르질루스 푸미가투스( Aspergillus fumigatus) 의 감염에 효과를 보였다. 이 진균은 원내 감염에서 가장 흔하며 항진균제 치료 후에도 기여 사망률이 85%인 질병인 아스페르질루스증(aspergillosis)을 일으킨다. 이 발견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분리하는데 세균 미생물군(microbiota)가 유망한 원천이라는 것을 보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1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항균 내성; 항진균; 곤충; 가위 개미; 미생물군; 원내 감염; 사상균; 스트렙토미세스 2. cyphomycin; antibiotics; resistant; hospital-acquired infection ; filamentous bacteria; microbiota; aspergillosis; leaf cutting 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