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속의 독성 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7-01 00:00:00.000
내용 영국 서리 대학(University of Surrey)의 연구진은 Sn4+의 완전 용해 추출을 이용해서 페로브스카이트를 제조할 때 납을 50% 더 적게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독성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새로운 물질인 페로브스카이트는 실리콘보다 저렴하고 빛을 흡수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이런 페로브스카이트는 잉크 형태로 롤-투-롤(roll-to-roll) 인쇄를 통해 얇고 유연한 반투명 태양전지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은 벽에서부터 창틀까지 다양한 영역에 태양전지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탁월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납 성분이 포함된 페로브스카이트 때문에 독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높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연구진은 실리콘 태양전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 납 성분을 절반으로 줄이고 그 수치만큼 주석을 사용했다. 납만을 가진 셀과 주석을 혼합한 셀을 적층함으로써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우수한 전력 변환 결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많은 국가들이 기후 변화를 심각하게 다루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주석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영국과 같은 국가들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는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 화석 연료가 고갈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런 유형의 연구는 필수적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29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납; 2. perovskite; solar cell; l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