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혁신 2010 사전 자료에 따르면, 최소한 10명을 고용한 56%의 기업은 2008-2010년 혁신 활동을 실천했다. 그 중 대다수 기업은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를 이런 저런 방식의 혁신 활동에 접목시켰다. 이 자료는 핀란드 통계청이 혁신 활동에 관심을 갖는 기업 조사에서 나온 것이다. 절반이 약간 안되는 조사기업은 조사 기간 중 제품 혹은 공정(process)과 관련된 혁신 활동을 실천했다고 보고했다. 기업의 1/3은 시장에 혁신 제품을 내놓았다. 29%는 공정의 혁신을 도입했다. 제조업 분야에서 제품, 공정과 관련된 혁신 활동은 컴퓨터, 전자, 광학제품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퍼졌다. 서비스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이나 공정의 개발, 시작, 도입은 정보기술과 컴퓨터, 서비스 활동에서 가장 빈번했다. 만일 조직과 마케팅 혁신을 채택한 기업을 포함한다면, 2008-2010년 혁신 활동을 실천한 기업의 몫은 56%로 늘어난다. 조직 혁신 혹은 마케팅 혁신을 도입한 기업의 몫은 40%였다. 이번 혁신 조사에서 통계청은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 활동에서의 혁신 활동과 기업 발전 활동에서 사용자의 지향성(orientation)의 중요성을 처음 조사했다. 전반적으로,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활동에서 기업은 다른 서비스 활동 분야의 기업보다 더 자주 혁신 활동을 한 것으로 보고했다. 혁신 활동에 참가한 기업은 전체의 57%였다. 조직 혁신을 보고한 기업은 40%로 특별히 높았다. 사용자의 지향성에 대한 평가에서 혁신 활동을 실천한 5곳 중 4곳은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를 그들의 혁신 활동과 혁신 제품 생산에 접목했다고 보고했다. 10곳 중 7곳은 소비자 피드백 시스템으로 받은 정보를 활용했고 혁신 활동을 실천한 절반은 시장 조사, 소비자 패널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얻은 정보를 부당하게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바람직한 기업 1/3은 사용자의 욕구를 확인하는 데 좀 더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혁신 활동을 실천한 기업 1/3은 사용자가 아이디어, 콘텐츠 생산 같은, 개발을 하도록 직접 이끌어줌으로써 함께 혁신 활동을 했다. 기업의 정반 정도는 소비자가 수정하고 개발한 제품을 토대로 생산을 했다고 보고했다. 사용자와 사용자 정보를 혁신 활동에 포함한 대부분의 기업은 이것의 중요성을 높이 혹은 보통으로 생각했다. 종합 보고서는 6월에 나올 것이다. 목차 표 부록 표 1. 직원 규모로 본 혁신 활동 정도 2008-2010 2a. 산업의 혁신 활동 정도 2008-2010 2b.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활동에서 산업의 혁신 활동 정도 2008-2010 3. 직원 규모에 의한 마케팅과 조직혁신 정도 2008-2010 4a. 산업의 마케팅과 조직 혁신 정도 2008-2010 4b.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 활동에서 산업의 마케팅과 조직 혁신 정도 2008-2010 5a. 사용자와 사용자 정보를 기업의 혁신 활동, 방식에 접목하기, 이의 중요성, 2008-2010 5b. 사용자와 사용자 정보를 기어브이 혁신 활동, 방식에 접목하기, 인간의 건강과 사회 복지 활동에 미치는 중요성 2008-2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