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용 줄기세포로 미니 망막 개발
기관명 | NDSL |
---|---|
작성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작성일자 | 2018-12-12 00:00:00.000 |
내용 | 크리스퍼는 세균의 천적인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구축한 일종의 면역 체계로 여겨 지는데 작은 palindrome 구조이다. 크리스퍼의 또 다른 특이점은 'Fokl'이 아닌 'Cas9'를 사용하여DNA를 더 깊게 자르는 것이 특징이다. 크리스퍼는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포 안으로 쉽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발견 이후 지난해에 보고된 이래 전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CRISPR, Cpf1)의 정확성이 기존 크리스퍼 Cas9에 비해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Cpf1 단백질은 지난해 MIT의 Feng Zhang 교수가 Cas9을 대신할 절단 효소를 찾던 중 발견해 학계에 보고한 절단효소다. 최근 과학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유전자 가위는 크리스퍼 Cas9으로 Cas9은 특정 DNA 염기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 이며 Cpf1 단백질은 Cas9 단백질과 여러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의 Robert Johnston 박사와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 줄기세포로 미니 망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Science 최신호에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즉 줄기세포를 망막 오가노이드 (organoid)로 키워내는 데 성공 했다. 오가노이드란 인체 장기와 유사한 구조,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3차원적 세포의 덩어리를 말한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줄기세포를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하면서 배양해 2주 만에 20~60개의 작은 세포 덩어리로 자라게 했으며 이를 다시 9개월 동안 키워 빛에 반응하는 미니 망막으로 만들어 냈다. 이 미니 망막은 직경이 2mm이고 실제 안구의 망막보다는 약 15배 작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완전한 안구는 아니지만 세포는 빛에 반응하는 광수용체 (photoreceptor)를 지니고 있었고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 세포 (cone cell)의 기능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크리스퍼 (CRISPR) 유전자 가위로 원추세포의 수용체를 조작, 청색만 볼 수 있는 또는 적색과 녹색만 볼 수 있는 망막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
출처 |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93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1. 오가노이드,광수용체,원추세포,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줄기세포 2. photoreceptor,cone cell,CRISPR,organoid,Mini-Eyes,Color Vision Develop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