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양자점과 단백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재료로 만들어진 태양전지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03-02 00:00:00.000
내용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원자력대학(Moscow Engineering Physics Institute)의 연구진은 양자점(quantum dot)과 감광성 단백질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재료로 새로운 유형의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이 연구결과는 태양 에너지 수집 및 광학 컴퓨팅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박테리오로돕신(bacteriorhodopsin)은 식물의 엽록소와 같이 빛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세포막을 통한 양전하 전달로 인해 발생한다. 즉, 양성자 펌프(proton pump)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태양전지에 적용 가능하다. 박테리오로돕신이 엽록소와 가장 크게 차이가 나는 점은 산소 없이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화학적, 열적, 광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동시에 박테리오로돕신은 양성자를 펌핑(pumping)함으로써 10억분의 1초에 여러 번 색이 변한다. 따라서 이 재료는 홀로그램 장치를 만드는데 유망하다. 이번 연구진은 양자점에 박테리오로돕신을 결합시킴으로써 단지 몇 나노미터 크기에 빛 에너지를 집중시켜서 빛 방출 없이 박테리오로돕신에 전달할 수 있었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는 박테리오로돕신과 같은 감광선 분자가 매우 좁은 에너지 범위의 빛만을 흡수하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양자점을 결합함으로써 매우 넓은 에너지 범위의 빛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효율을 가진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고에너지 광자 방사선 조건이 만들어지면, 양자점은 이것을 방출하지 않고 박테리오로돕신에 전달한다. 따라서 광학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자외선 영역까지 매우 넓은 범위의 빛에 작동하는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양자점은 화학적 합성 방법을 통해서 만들어졌고, 그 후에 전하를 띠게 하는 분자로 코팅되었다. 그 후에 양자점과 박테리오로돕신을 결합함으로써 양자점에서 박테리오로돕신으로의 여기 에너지 전달 효율이 매우 높은 하이브리드 복합물(약 80%)이 만들어졌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 구조를 기반으로 매우 효율적인 감광성 소재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다. 바이오 하이브리드 나노구조는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는 최고의 성능을 가진 상용 샘플을 능가하게 될 것이다. 향후 연구는 감광성 태양전지의 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될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5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양자점; 단백질; 태양전지 2. quantum dot; protein; solar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