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미국 , 제 3 의 혁명 : 생명과학 , 물리학 및 공학의 융합 미국에서 보건의료의 미래보다 더 위협적인 문제는 거의 없다 . 이 보고서는 공학과 물리학 및 생명과학을 통합하는 역동적이고 유망한 lsquo; 융합 (convergence) rsquo; 분야를 소개하고 , 이 융합이 진단법과 치료법의 새로운 개발과 새로운 지식기반을 제공함으로써 21 세기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사진을 어떻게 제시하는지를 설명한다 . 이 보고서에서는 접근가능하고 저렴한 맞춤형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혁신이 융합을 통해 어떻게 가능해지는지를 논의한다 . 또한 ,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연구를 자금지원하는데 있어서 정부기관의 역할을 논의한다 . 마지막으로 , 기초연구의 최적화 , 보건기술의 향상 , 주요 의료발전의 촉진 등을 목표로 하는 국립보건원 (NIH) 과 같은 정부기관 내에 융합을 포함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 lsquo; 융합 rsquo; 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 이 보고서에서는 개별 기술이나 처리 장치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방법이나 기회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 여기에는 연구그룹 간의 협력과 개별적인 접근법들의 통합을 통해 , 특히 공학 , 물리학 및 생명과학과 같은 각기 다른 연구분야의 결합을 포함한다 . 이 보고서에서는 융합이 혁신을 위한 청사진이라고 간주한다 . 정보기술 , 재료 , 이미징 (imaging), 나노기술 , 광학 , 양자물리학 등의 발전은 컴퓨팅 , 모델링 , 시뮬레이션 등의 발전과 결합하여 이미 물리학을 변화시켰다 . 이는 현재 생명과학도 변화시키고 있다 . 융합은 이러한 기술적 도구와 , 공학 및 물리학의 전통적인 접근법을 채택하여 생명과학 연구에 적용한다 . 그러나 , 융합은 일방 통행로가 아니다 . 생물학적 모델도 공학과 물리학을 변화시킨다 . 바이오연료 , 바이오소재 , 바이러스 자체조립 등의 발전은 이러한 상호관계의 일부 예이다 . 융합은 모든 과학 연구의 수행 방법을 광범위하게 재고하여 , 미생물학에서 컴퓨터과학 및 공학에 이르는 다양한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것이다 . 즉 , 융합 혁명은 특정한 과학의 발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 발전을 위한 새로운 통합 접근법에 의존한다 . 생명과학 , 물리학 및 공학의 통합은 과학의 궤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촉진시킬 것이다 . 국립보건원과 그 외 관련 정부기관들은 적합한 자금지원과 준비 하에 이와 같은 차세대 과학 혁명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제는 국립보건원과 그 외 정부기관들이 융합을 미래의 흐름으로 간주해야 할 때이다 . 융합은 새 치료법과 진단법을 위한 의학의 새로운 기회 , 경제적 기회 , 에너지와 기후 , 농업 등 여러 과학분야에서의 기회 등을 제공할 것이다 . 목차 1. 융합에 대한 개요 2. 융합의 경제적 정당성 3. 융합을 위한 국립보건원의 역할 4. 권고사항 5.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