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중점 IT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로드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7-28 00:00:00.000
내용 1. 차세대 ITS(지능형 교통시스템)에 의한 환경부하 경감·안전안심 실현 ○ 연구개발 목적 - 정보통신 시스템 활용에 의한 저탄소형 사회 실현 - 정보통신기술 활용 등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5년경까지 차세대 ITS의 고도의 통신기반기술의 확립 2. 안심·안전 생활을 지원하는 센싱기술 ○ 연구개발 목적 - 안심·안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IT를 이용해 생활을 위협하는 재해·범죄·사고를 방지 및 대처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20년까지 환경내 화학물질 등을 즉시 검출할 수 있는 센싱기술 및 정보전달·공유를 위한 기술을 확립 - 2020년까지 돌발 재해나 난기류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센싱기술 및 정보전달·공유를 위한 기술을 확립 - 2020년까지 구름이나 에어로졸 등을 관측하기 위한 센싱기술 및 지구온난화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을 확립 - 2020년까지 지구환경 정보, 우주환경 정보 등의 정보 수집에서, 통합적 처리·예측 등의 분석·유통까지의 종합적 지원이 가능한 데이터 분석 유통 기술, 이용·활용 기술을 확립 3. 네트워크 로봇 ○ 연구개발 목적 - IT를 활용해, 의료·생활 지원 수단의 충실 및 생활 습관병 등의 예방 지원, 새로운 의료·간병·건강 증진 서비스가 창출되어 건강 장수 사회를 실현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3년까지 여러 지점에서 여러 로봇 제휴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기술을 확립 - 2015년까지 뇌정보를 융합시켜 음성이나 키보드에 의하지 않아도, 로봇에게 '의사(意思)'이나 '사고(思考)'의 전달을 실현 4. 혁신적 3D영상 ○ 연구개발 목적 - 의료, 교육 등의 서비스의 질 향상과 효율화를 위한 IT의 발전·보급, 3D표시 단말, 컨텐츠 등 새로운 시장 창출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5년경까지 나안(裸眼) 3D영상을 이용한 원격 진료나 교육용 시스템의 기반기술을 확립 - 2018년경까지 256 시점(視點) 및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진 3D디스플레이의 가정내 보급 및 3D영상의 인체 영향에 관한 평가수법의 확립 - 2020년경까지 A6사이즈의 전자 Holography 시스템의 실용화 5. 초고정밀 영상 ○ 연구개발 목적 - 보다 현실감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초고정밀 영상의 전송 기술을 세계에 앞서 개발해, 국제 경쟁력을 확보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2년까지 네트워크 등을 이용한 초고정밀 영상의 압축·편집·활용 등을 위한 Encode 기술을 실현 - 2015년경까지 초고정밀 영상의 방송위성에 의한 전송 및 고효율 Encode이 가능한 기술을 실현 6. IT를 활용한 쌍방향형 방재정보 전달 시스템 ○ 연구개발 목적 - IT를 활용한 안심·안전의 사회 구축(재해, 범죄, 사고의 방지·대처)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2년까지 지상 휴대전화와 위성 휴대전화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 - 2012년까지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재해에도 강한 클라우드 처리 기술을 확립 - 2013년까지 통신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위성통신 기술을 확립 - 2013년까지 재해정보 등을 신속히 수집할 수 있는 光무선기술을 확립 - 2020년까지 위성에 의한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확립 7. 이노베이션 창성형 뇌정보 통신 기반 기술 ○ 연구개발 목적 - 건강 장수의 촉진 - 정보통신 시스템의 저소비 전력화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5년까지 일상생활속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형 BMI(Brain Machine Interface)기반기술을 확립 - 2015년까지 뇌나 생체의 정보처리의 구조를 정보통신 네트워크 제어에 적용해, 종래에 비교해 현격히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고 환경 변화에 즉각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제어 기술을 확립 - 2017년까지 확립한 BMI 기반기술을 근간으로, 실용화를 위한 실증 실험 및 뇌정보의 네트워크내 전송이나 PC/기계 제어를 범용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표준화 제안을 실시 8. 양자(量子) 정보통신 ○ 연구개발 목적 - IT를 활용한 안심·안전의 사회 구축 - 기존의 연장선상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을 창출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시큐어 포토닉 네트워크를 2015년에 전용선에, 2025년까지 기간망에 적용한다. 양자 노드를 2030년경에 네트워크로 이용. 계측 표준을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장 전개 9. 혁신 기능 창성 ○ 연구개발 목적 - 초전도, 기능 분자, 바이오 재료 등 신규 재료의 우수한 특성을 살려, 새로운 원리·개념에 근거한 혁신적인 정보통신기술을 창출 ○ 기간별 연구개발 목표 - 2015년까지 실시간 측정 가능한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분광 이미징을 가능하게 하는 광원, 검출기를 실현 - 2015년까지 다채널 초전도 광자 검출 시스템 구축 - 2015년까지 유기 전기 광학 光스위치를 개발 - 2020년까지 세포·분자와 실리콘의 하이브리드 센서 기술을 확립 - 2025년까지 나노 스케일 동작에서의 신기능 개척에 의해, 소비 전력이나 크기를 1/100 정도로 줄인 통신 경로 제어 기술을 개발 *산학관협력 강화위원회 제8회 중점과제 워킹그룹(2010.7.22) 자료임.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2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