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 국립보건원, 생의학 기술연구센터 두 곳 신설 발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10-23 00:00:00.000
내용 미 국립보건원(NIH)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위한 혁신적인 영상 기술 및 단백질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두 개의 새로운 연구센터를 설립하는데 연구비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NIH 산하의 국립 연구자원 센터(National Center for Research Resources, 이하 NCRR)는 오늘 (10월 15일) 향후 5년간 1,100만 달러 가량을 두 곳의 새로운 생의학 기술연구센터(Biomedical Technology Research Centers, 이하 BTRCs) 설립을 위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센터들은 전국의 연구자들에게 전문적인 연구 도구, 훈련 및 최신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중 한 센터는 알츠하이머와 같이 신경체계가 점차 악화되는 병에 대한 더 나은 진단 및 치료법을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영상 기술들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다른 센터는 암과 같이 광범위한 질병에서 중요한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판별하고 분석하기 위한 최신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다. 각 센터는 보다 광범위한 기초, 임상 및 중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결정적인, 그리고 때로 독특한 기술을 창조할 것이다. 복잡한 생의학적 연구 문제의 해결 시 일종의 테스트 베드로 기능할 BTRC 연구 프로젝트는 센터 내의 인력은 물론이고 협력적 파트너십을 통해 외부의 다학제적인 기술 및 생의학 부문 전문가들의 전문성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보건적인 문제들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내놓고, 이들이 빠르게 채택되어 광범위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NCRR 센터장인 바바라 알빙(Barbara Alving) 박사는 '이들 센터에서, 전국의 연구자들이 다양한 분야에 걸친 생의학 연구 문제에 대한 최신 장비, 소프트웨어 및 지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물리학, 컴퓨터, 생물학 분야의 과학자, 공학자들, 그리고 임상 연구자들의 전례 없는 협력을 통해, 이 두 곳 센터의 연구자들은 기술 및 기술의 응용화를 집단적으로 발전시킨다'고 말했다. 이 새로운 센터들은 현재 샌프란시스코 소재 민간 기업인 `연구 및 교육을 위한 노던 캘리포니아 연구소`와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각각 설립되고 있다. `연구 및 교육을 위한 노던 캘리포니아 연구소` 사는 향후 5년간 604만 달러를 수여받아 신경퇴행성 질환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개발하게 된다. 이 BTRC는 임상의들이 알츠하이머, 파킨슨, 그리고 루게릭 병 등을 보다 잘 이해하고 진단,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이고 발전된 MRI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과 임상의들은 보다 선명한 영상, 해부학적 데이터 획득을 위한 보다 신뢰도 및 정확도가 높은 방법, 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3차원) 재구성 기법, 그리고 더 나아진 영상 처리 능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편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의 BTRC는 5년간 총 494만 달러를 수여받게 된다. NCRR은 이 센터가 컴퓨터 질량 분광기를 개발, 협력 연구 노력을 지원하는 한편 컴퓨터 사용 단백체학(computational proteomics)의 미개척지에 대한 연구조사활동을 장려함으로써 단백체학의 국제적 연구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단백체학 실험의 목표는 보통 복잡한 생물학적 샘플에 포함된 수천 종의 단백질을 동정하고, 암 세포와 정상 세포와 같은 샘플 비교 시 이 단백질들의 양 내지 구조의 차이를 탐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차이 파악 및 상호 연관에 대한 연구는 질병의 원인 혹은 진행 과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어떻게 약물이 질병을 치료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실험들에서 생산될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정교한 컴퓨터 도구가 필요하다. 이 도구들은 단백체학의 새로운 분석 도구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상황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발전하고 있다. 샌디에이고의 새로운 센터에서는 질량 분광기에 대한 창의적인 수학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신뢰도가 높은 공개접근이 가능한 차세대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하여 단백체학의 실험 연구자 및 컴퓨터 사용 위주의 연구자들 간의 교환 및 협력을 촉진할 계획이다. 또한 이 센터는 새로이 개발될 기술을 사용할 과학 공동체의 훈련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지원을 통해 전국의 BTRC의 수는 52곳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센터들은 크게 다섯 기술 분야로 나뉘어 조직되어 있다. 영상, 인포매틱스, 광학 및 레이저 기술, 구조생물학을 위한 기술, 시스템생물학을 위한 기술이 그 분야들이다. 전국의 연구자들은 이들 센터에서 다양한 지원 및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장기간의 협력, 정기적인 분석 및 상담 등이 가능한 상호 관계의 형태들이다. 센터들은 또한 실험실 훈련, 단기 교육과정, 워크숍 및 온라인 자원 등의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두 곳의 BTRC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www.ncrr.nih.gov/btrr/2008에서 찾을 수 있으며, BTRC의 일반적인 정보는 www.ncrr.nih.gov/btrr에서 볼 수 있다. NIH 산하기관이며 BTRC 설립을 지원하고 있는 NCRR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www.ncrr.nih.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 www.ndsl.kr (GTB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TT20080016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