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ITU, 차세대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9-04 00:00:00.000
내용 차세대 네트워크와 에너지 효율성 NGN(next-generation networks)은 오늘날의 유선, 이동 방송 네트워크를 통합할 새로운 네트워크 설계로, 이 혁신적인 기술은 아주 큰 에너지 효율을 가져온다. 정보통신분야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2-2.5%를 차지한다. 이 수치는 개발도상국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커질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은 탄소치환기술을 향상시켜서 기후변화를 감시, 완화, 대응할 수 있다. 효율적인 정보통신기술이 2020년 까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을 20% 줄일 수 있다고 본다. ITU-T 전자통신 표준화 자문 그룹(ITU-T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은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기후변화에 관한 프로그램 작업을 시작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권장사항과 지침(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을 만들어 지속적인 개발을 강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려 한다.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면 기후변화 완화를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한다. ITU 보고서 “정보통신 개혁의 경향-NGN으로 가는 길” (2007년 9월) 에 따르면 선진국에서 NGN으로의 완전한 이행은 2012년 까지 완성되어 2020년 까지 끝날 것이다. ITU-T는다양한 표준화 조직과 협력해서 NGN 국제 표준 이니시어티브(NGN-GSI: next generation network-global standards Initiative)를 진행 중이다. NGN으로의 이동은 IP전송의 도입으로 에너지 소비를 30-40%를 줄인다. 이는 유무선 네트워크의 통합으로 가능하다. 에너지 절약의 알고리즘이 등장하며, 건전지 수명을 늘리고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이 기술 연구의 가장 큰 도전이다. . 복합 파워 모드 도입--관련 기술을 다양한 파워 모드, 예를 들어, 전 출력, 저 출력, 대기 전력과 휴면전력 등을 구체화해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 광학 광대역 접근은 NGN기술 설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다. 가장 큰 잠재성은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이다. 유리 섬유 한 줄은 수천가닥의 구리선 보다 더 많은 자료를 전달해 에너지 비용을 줄인다. 2007년 다중 운영자 파워 절감 이니시어티브(Multi Operator Power Save Initiative)가 설립되어 광대역의 전력소비를 낮추는 해결책을 연구한다. ITU-T Study Group 15, DSL Forum 과 유럽 전자통신 표준 연구소(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도 참여한다. . 스위칭 센터의 수를 줄인다. 통신 네트워크의 스위칭 혹은 발송 센터는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한다. NGN의 설계는 고용량 루터(네트워크 층의 중계기능을 사용하여 복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와 고속 전송을 이용해 센터의 수를 줄인다. 오늘날의 이동 전환 센터 서버(mobile switching centre server: MSC-S)는 전의 기술보다 전력소비를 35% 줄인다. NGN장비는 온도 변화에 훨씬 잘 견뎌 전환 센터와 데이터 센터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 자료 센터의 NGN--전세계 10억이 넘는 광대역 서비스의 이용자가 전력과 에너지 소비를 높인다. 자료 저장과 서버팜(대형 컴퓨터 회사)의 냉각은 정보통신산업의 주된 에너지 소비 분야다. 온라인 서비스의 수요증가로 이 에너지 소비가 늘어날 것이다. 2007년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온실가스 총 배출 중에서 자료센터가 14%를 차지한다. 이는 2020년 18%로 늘어날 것이고(약 이산화탄소 2천 5백 4십만 톤의 양이다), 2015년 까지는 서버를 운영하는 에너지 비용이 하드웨어의 비용을 능가할 것이다. 따라서 자료센터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이 정보통신기술 분야가 직면한 주된 도전 중의 하나다. 정보통신 기술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한가지 주된 방법은 기존의 물리적인 서비스를 축소시키는 것이다. 광범한 초고속 광대역 접근과 NGN과 관련된 서비스의 유비쿼터스 조항은 최저의 전력소비로 동시에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한다. 전자기기를 이용한 화상회의와 전화근무(telework)는 이미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재택근무, 전자서류, 전자 상거래, 온라인미디어 등으로 2020년 까지 4억 6천만 톤의 이산화탄소배출 감소를 이룰 것이다. NGN을 통한 네트워크의 융합은 견고한 국제표준을 요구한다. NGN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은 기후변화와의 싸움을 고려해야하다. NGN-GSI는 다른 표준화 기구와 협력해 세계적으로 NGN 구조 설계의 다른 접근 방법을 조화시킨다. 현재는 200개의 권고 사항이 발표되었다. ITU-T 연구 그룹 13과 15가 이들 기준 개발에 주력한다. ITU-T SG 15는 기술 보고서인 ”표준화 활동을 위한 에너지 절감 검토목록”에서 전자통신 장비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방법을 조사한다. 각각의 새로운 ITU-T 권고는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과 그것이 배출 감소에 기여하는 방식을 보여주어야한다는 조항을 포함한다. ITU는 기후변화와 정보통신 기술을 주제로 두 개의 학술회의를 열었다. 하나는 2008년 4월 동경에서, 다른 하나는 2008년 6월 런던에서다.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과 표준화 기구의 구성원들은 정보통신 기술이 모든 영역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중요한 기술일 수 있다는 인식을 해야한다. 정보통신 기술 분야의 탄소 배출을 특징지을 공통의 개념 정의와 방법론의 확립이 중요하다. TSAG(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의 지도 아래 2008년 7월 정보통신기술과 기후변화에 관한 포커스 그룹이 설립되었다. NGN으로의 변화 이행기에는 기존의 네트워크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데, 이 기간이 짧아야한다. 이중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전기소비를 증가시키고 탄소배출을 늘린다. ITU는 에너지 효율이 좀 더 나은 장비와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정보통신 기술이 전력수요를 줄일 길을 탐구하고 환경에 책임이 있는 방식으로 장비를 이용하며, 정보통신기술의 탄소 배출을 계산할 표준화된 방법을 개발할 것이다. 목 차 개괄 1.차세대 네트워크란 (NGN)란 무엇인가? 2. NGN은 어떻게 에너지 효율에 기여하나 2.1 IP 시스템 2.2 복합 파워 모드 도입 2.2.1 광대역 장비의 파워 모드 2.3 전송시스템의 에너지 절약 2.3.1 광학 광대역 접근-'녹색' 전송 시스템 2.3.2 DSL-동력조건 축소 전망 2.3.3 이동 광대역 밴드 2.4 통합 네트워크 구축 2.5 스위칭 센터의 수 줄이기 2.6 자료 센터와 NGN (보고서에 3이 없음) 4. NGN적용의 기후 변화 가능성 5. 정보통신기술과 기후변화에 대한 ITU-T 표준화 작업 5.1 도전 6. 결론 부록 . 보고서에 제시된 보기 용어해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3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