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제 3 장 삼극(일본, 미국, 유럽) 코어 출원에 관한 조사 제 1절 전체 해석 1. 출원인 국적별 삼극 코어 출원건수 추이 - 우선권주장년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일본, 미국, 유럽의 출원인 국적별 삼국 코어출원건수는 연간 2000건 안팎으로 추이하고 있다. 그 중 일본국적 및 미국국적 출원인에 의한 출원건수는 증가추세지만 유럽국적 출원인에 의한 출원건수는 약간 감소추세. 2. 출원인 국적별 삼극 코어출원 건수 추이 - 일본국적 출원인의 삼극 코어출원 비율은 직접출원 및 PCT출원 합계가 6~7%이며, 이는 미국국적 및 유럽국적 출원인의 1/2이하. - 한편 미국국적 및 유럽국적의 삼극 코어출원비율은 직접출원 및 PCT출원합계가 14~17%로, 일본보다 높게 나타남. - 삼극 코어출원을 출원 루트별로 보면 일본국적출원인의 PCT출원에 의한 출원 비율이 직접 출원에 의한 출원의 거의 1/2로 낮음. - 미국 및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 루트별 출원비율은 PCT출원에 의한 출원의 비율이 직접출원에 의한 출원의 3배 이상으로 PCT출원 이용률이 일본에 비해 상당히 높음 제2절 기술분야별 해석 1. 기술분야별 출원건수 -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많은 분야는, 우선권주장년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모두 '전자부품·반도체'로, 이어서 '측정·광학','전자회로'분야.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미국,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를 크게 상회하는 분야는 2001년까지는 '전자부품·반도체','표시·음향'의 2분야 2002년에는 '인쇄'가 추가되어 3분야, 2003년에는 '차량','엔진'이 추가되어 총5분야. - 미국, 유럽 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를 크게 상회하는 분야는 2001년에는 의료기기, 유기화학, 의약품, 바이오, 유전자공학. 2002,2003년에는 의료기기, 유기화학, 의약품의 3분야. 유전자공학, 바이오 등에서는 여전히 미국국적 출원인이 일본국적 출원인을 크게 상회하나 일본국적 및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비슷한 정도로 상기의 대상에서 제외되게 되었다. 2. 기술분야별 삼극 코어출원 미일유럽 비교상 특징이 있는 분야 1) 일본국적 출원인 출원이 크게 상회하는 분야 - '전자부품·반도체', '운수', '엔진'에서는 일본국적과 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증가하는 반면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는 감소추세. - '표시·음향'에서는 일본국적과 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거의 보합세인데 반해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에는 증가세 - '인쇄'에서는 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감소하나 일본국적과 유럽 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는 2002년까지는 증가, 그 후 감소추세. 2) 미국, 유럽 국적 출원인 출원이 크게 상회하는 분야 -'의료기기'에서는 일본, 미국, 유럽국적 출원인 모두 출원건수가 증가세. -'유기화학', '바이오','유전자공학'에서는 일본, 미국, 유럽국적 출원인 모두에 출원건수가 감소 -'의약품' 에서는 일본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가 보합상태인데 반해 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는 증가세,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건수에는 감소추세 제4장 각국(지역)및 기관의 출원 상위자에 관한 조사 - 국가(지역) #8226;기관에 따라 내국인 비율인 높은 국가(지역) #8226;기관 및 내국인 비율이 낮은 국가(지역) #8226;기관이라는 특징이 나타남 - 본 조사의 대상국에서 내국이 비율이 높은(50%이상)국가(지역)는 적고, 유럽 이외에서는 일본 및 한국만으로 나타남. - 유럽은 이탈리아, 스위스, 스페인, 독일,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 러시아, 우크라이나 및 스페인의 내국인 출원인의 대부분은 대학 등의 연구기관. - 내국인 비율이 낮은(10%이하) 국가(지역)는, 홍콩,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및 이스라엘 등의 아시아 각국(지역), 유럽의 헝가리, 멕시코 및 아르헨티나의 중남미 국가 및 호주, 뉴질랜드의 오세아니아 국가가 해당. -업종별 비율 1) 일렉트로닉스, 반도체 #8226;제조장치, 정보통신 비율이 높은 국가(지역) - 일본, 한국, 중국, 대만,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EPO, 미국, 호주 2) 일렉트로닉스, 반도체 #8226;제조장치, 정보통신 및 의로 비율이 높은 국가(지역) - 홍콩 3) 의료 비율이 높은(40%이상) 국가 - 베트남, 슬로바키아, 체코,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남아프리카,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4) 의료 및 기타 1업종의 비율이 높은 국가(지역)(일렉트로닉스, 화학 #8226;섬유, 가정용품 #8226;화장품) -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필리핀, 멕시코, 브라질 5) 다업종이 분산된 국가(지역)(약 15%이상의 업종이 없음) - 태국, 핀란드, 이집트, 캐나다 6) 기계 #8226;건설자재 또는 수송기기 #8226;부품 비율이 높은 국가(지역) - 이탈리아,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스웨덴 7) 연구기관 비율이 높은 국가(지역) - 스페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제 5 장 글로벌 기업의 출원동향 제 1 절 기본 글로벌 기업의 개요 - 대륙별 출원경향: 아시아 77개사, 유럽 47개사, 아프리카 0개사, 남미북미 41개사, 오세아니아 1개사 - 각국(지역)별 출원경향: 일본 66개사, 미국 40개사, 독일 20개사, 프랑스 10개사, 한국 8개사, 네덜란드 7개사, 스위스 및 대만 4개사, 인도 3개사, 중구, 핀란드, 캐나다 및 호주 각 1개사 - 업종별 출원경향: 일렉트로닉스 43개사, 반도체 #8226;제조장치14개사, 정보 #8226;통신 15개사, 정밀 #8226;의료기기10개사, 수송용기기 #8226;부품18개사, 기계 #8226;건설자재 8개사, 철강 #8226;금속 #8226;광공업 10개사, 인쇄 #8226;제지4개사, 에너지 3개사, 화학 #8226;섬유 16개사, 의료 14개사, 식품 1개사, 연구기관 10기관. 제 2 절 확대 글로벌 기업의 업종별 출원동향 - 확대 글로벌 기업군에 따른 업종 해석에서는 기본 글로벌 기업군에서는 해당 기업수가 적거나 일본국적 기업이 적은 업종 등에서도 개개의 기업이 아닌, 업종의 출원경향 또는 국적별 기업의 차이 등이 분석가능해진다. - 어떤 업종도 아시아각국, 남미북미 및 오세아니아에 대한 적극적인 출원전략을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아프리카 각국에 대해서는 전기 #8226;기계계열보다 에너지, 화학섬유, 의약, 가정용품 #8226;화장품 #8226;식품 등의 일용품에 가까운 업종이 적극적으로 출원되고 있는 상황이다. - 동유럽 및 구소련 연방에 대한 출원에서는 업종에 따라 출원전략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제 3 절 확대 글로벌 기업군과 재무 데이터와의 관계 - 영업이익율 및 순이익율에서는 많은 일본국적의 글로벌 기업이 수치(규모)가 적은 곳에 집중하기 쉬운 경향이 보였으나 전체 및 각 국적에 대해서 양지표와 외국출원건수와의 상관관계는 도출되지 않았다. - 연구개발에서, 기업의 국적에 따른 명확한 차이는 보이지 않으니, 전체적으로 그 액수가 클수록 총외국출원건수가 큰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