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지구온난화 관측 추진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8-14 00:00:00.000
내용 1. 서론 ○ 지구온난화 문제는 21세기의 중대한 환경문제로, 매우 시급한 대책 실시가 요구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이고 통합된 지구관측을 장기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데이터 표준화 촉진 (1) 온실가스·탄소순환 분야 ○ 대기·해양분야 - 관측치 기준이 되는 국제적인 표준시료의 공급 체제 확립과 관측실시기관을 네트워크화해, 측정법의 정기적인 상호 비교를 할 수 있는 제휴·협력 체제 구축 ○ 육지영역 분야 - 탄소수지량 관측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소수지 관측의 상호 비교 검증, 각종 관측법의 표준화 등이 급선무. 몇 개 관측점에서 종합적인 관측을 집중적으로 실시, 불확실성이 큰 항목의 원인을 해명해, 개량 방법을 개발. (2) 영향평가 분야 ○ 해수면 - 온난화 영향이 급격하고 파악이 필수적인 설빙이나 생태계 분야에서 거의 접근을 못한 상태로 시급한 대응이 필요. ○ 빙핵 - 설빙 코어·데이터의 국제적인 범위(IPICS: International Partnerships in Ice Core Sciences)로의 적극적 참여나, 일본장기생태학 연구네트워크(JaLTER : Japa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Network)의 추진이 요청됨. ○ 삼림 분야 - 삼림은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으로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세계 삼림자원 조사의 정밀도 향상이 필요. 3. 데이터 유통 촉진 (1) 온실가스·탄소순환 분야 ○ 데이터 유통 촉진 - 대기·해양 분야에서는, 국제해양데이터 정보교환 시스템(IODE : International Oceanographic Data and Information Exchange), 세계기상기관 전구대기감시계획 온실가스 세계자료센터(WMO/GAW/WDCGG: World Data Center for Greenhouse Gases), 이산화탄소 정보분석센터(CDIAC: Carbon Dioxide Information Analysis Center) 등이 많은 대처를 하고 있음. - 육지영역 관측 데이터는 대기나 해양과는 달리, 데이터 유통은 늦어 현시점에서는 플럭스 넷(FLUXNET)이나 아시아 플럭스(Asia Flux) 등 연구자 수준의 데이터 유통에 머물고 있음. 우선, 연구자 네트워크의 안정적 운용을 위한 연구자금 확보와 사무국 기능 강화가 필요. ○ 데이터의 수집·관리·통합 - 관측 데이터를 과학적·사회적으로 유용한 정보로 변환해, 이를 국제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가 필요. (2) 영향평가 분야 ○ 육지영역 생태계의 관측 데이터 - 대기·해양과 달리, 각각의 생태계를 소유한 국가들의 이해가 복잡하여 관측 데이터의 네트워크 DB 등록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 ○ 설빙 관측 데이터 - 설빙 관측 데이터 유통 촉진을 위해, 전략적인 체제 정비가 요구됨. 국립 연구기관 등에 데이터 센터를 설치, 데이터 수집과 공개를 위탁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 ○ 국제협력 - 국제기관·각 국 기관이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작성, 축적해 DB를 구축하고 있지만, 미국의 마스터 디렉토리 등이 그러한 정보원 정보를 관리·검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일본도 온난화로 한정한 독자적인 정보원 정보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정보 데이터를 이러한 국제적인 디렉토리에 등록하고, 활용을 촉진하는 것도 중요. 4. 관측 시설 등의 상호이용 촉진 (1) 온실가스·탄소순환 분야 ○ 온실가스와 그 관련 기체 - 각 연구기관이 어느 특정 분석 항목에 특화 기술이나 설비를 가지는 경우가 많음. 채취한 가스 등의 관측시료를 상호 이용하여, 특정 성분의 공백 영역까지 넓혀야 함. ○ 관측선에 의한 해양 관측 - 정상 관측과 연구 관측간 상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는 장소를 설치·운영해 나가는 것이 필요. (2) 영향평가 분야 ○ 해수면 관측과 같이 정보교환이나 기술 공유화가 기관간에서 행해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육지영역의 여러 분야의 통합적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슈퍼 사이트 정비, 설빙 관측 시료의 상호이용 촉진, 이를 위한 조직 설치 등이 급선무임. ○ JaLTER(일본장기생태학 연구네트워크)를 기반으로, Japan FLUX나 Monitoring-site 1000('新생물다양성 국가전략'에 근거, 실시되는 장기적 생태계 모니터링) 등 다른 네트워크나 프로젝트와 제휴를 추진, 여러 관측이나 야외 실험을 동시 실시하는 Field Station을 각 생태계마다 정비해, 생태계·생물 다양성의 통합적 관측 체제를 확립 필요. 5. 시공간적 관측 공백 개선 및 관측 항목 충실 (1) 온실가스·탄소순환 분야 ○ 해양 관측 - 정점(定點, 기상·해양 관측 목적으로, 국제적으로 정해진 해양상의 18개 지점)에서 정상 관측을 실시하고 있는 연구기관과 제휴하여 관측을 실시하거나, 자동 계측 부표(buoy) 개발. ○ 항공 관측 - 지금까지 실시해온 민간항공사의 정기여객기를 이용한 관측 구조를, 안정되게 지속하기 위한 예산적인 증명이 필요. ○ 육지영역 관측 - 아시아에서의 관측 네트워크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개발 필요. ○ 위성 관측 - 온실가스 관측기술위성 계획에서, 프로덕트(Product)·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관측 네트워크의 추진 등의 착실한 실시, 지구환경변동 관측미션(GCOM: 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의 추진·입안 등을 실시 필요. (2) 영향평가 분야 ○ 빙핵 분석 체제 - 인적자원, 기기 등의 면에서 EU나 미국의 연구기관에 비해 불충분함. 신속한 분석·실시를 위해 분석거점의 정비가 필요. ○ 해수면 관측 시설 - 해수면의 장기적인 변동을 검출하기 위해, 향후도 지속적으로 관측. ○ 육지영역에서의 생태계 관측 - 온난화의 영향을 받기 쉬운 생태계의 관측망, 특히 슈퍼 사이트를 정비해, 생태계·생물 다양성의 통합적 관측 체제 확립. - 육지영역 관측기술위성(ALOS :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에 의한 관측의 착실한 실시, 고성능 마이크로파 방사계(AMSER-E :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for Earth Observing System) 및 다파장 광학 방사계(GLI : Global Imager)의 임무 입안 - 슈퍼 사이트에서의 관측 결과와 육지영역 생태계 모델과의 상호 비교나, 광역에서의 모델·위성 관측이라는 비교 검증의 실시, 이를 위한 데이터 제공 체제 정비.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1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