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PLOS ONE, 창간 7년 만에 10만 논문 출판 달성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4-07-17 00:00:00.000
내용 미국의 과학·의학 분야의 오픈액세스 저널 PLOS ONE은 2014년 6월 23일, 창간 이후 10만 번 째 논문을 출판했다고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PLOS ONE은 이러한 기념비적인 10만 번 째 논문 출판 기념을 공정 이용과 이 여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회라고 밝혔다. PLOS ONE은 7년하고 6개월 전인 2006년에 창간되었으며 창간 이후 가히 파괴적이라고 할 수 있는 혁신의 결과로 과학계는 지진과 같은 떨림을 예고 받았다. PLOS ONE의 설립자는 항상 인쇄 전통의 흔적을 떨쳐내고 광범위한 저널을 수용하도록 했으며, 연구 범위, 페이지 수 또는 잠재적인 성장에 어떠한 제한도 걸지 않았다. 그리고 창간 2년 후에 PLOS ONE은 4,000건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4년 내 세계에서 가장 큰 저널로 성장했다. 그리고 7년 반 만에 10만 번 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러한 PLOS ONE의 혁신적인 모델을 전세계에서 모방하여 거의 모든 출판사들은 이제 자신의 `메가저널(Megajournal)`을 갖게 되었다. PLOS ONE는 이제 과학 분야에 있어 큰 힘이 되었다. 상위 2%의 PLOS ONE의 논문(조회 수 기준)은 총 약 3900만 번 조회되었고, 80,000회 이상 Scopus에 인용되었다. 또한, 150,000번 이상 Mendeley에 의해 북마크 되었고, 59,000회 이상 트윗, 위키 백과에 2,800번 이용 및 F1000 Prime에서 300번 이상 권장했다. 과학적 프로세스를 위한 PLOS ONE의 지속적인 가치는 출판 속도, 과학의 높은 기준 그리고 연구의 제한범위의 세 요소 사이의 단단한 조합에 있다. 출판 속도(Speed to publicaion) 출판의 신속함은 PLOS ONE의 창립 원칙이었다. 이는 단지 제출에서부터 출판까지를 더 빠르게 한다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 물론 이도 중요하지만, 저자의 결정에서부터 그들의 연구 결과를 대중에 내보이는 출판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극적으로 줄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의 리뷰 시스템에서는 불필요한 거부와 다른 학술지에 다시 제출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의미 및 범위의 주관적인 의견으로 종종 년 단위의 시간이 걸린다. PLOS ONE과 함께 과학의 엄밀성을 평가하면, 이 시간은 몇 개월로 단축된다. 높은 기준(High standards) PLOS ONE는 시작부터 엄격한 기준을 제정했다. 볼륨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제출되는 논문의 질은 점점 더 다양화되어 이러한 검사가 더 중요하고 엄격하게 되었다. 모든 제출 논문에 대한 저널 스탭들(14명의 편집자를 포함한 100명 이상의 스탭)의 검사는 검토를 위한 아래의 메뉴스크립트를 따른다. - 경쟁의 이익 - 재무 고시 - 영어의 질 - 동물 실험에 대한 윤리적 승인 - 인간 실험을 위한 IRB 승인 - 임상실험을 위한 프로토콜 및 CONSORT - 체계적인 리뷰와 메타 분석을 위한 PRISMA - 셀 라인(Cell line) 출처 - 필드 샘플(Field sample) 출처 - 동물 연구에서의 인도적인 종단점 - 데이터 유용성 - 표절 PLOS ONE의 리포팅과 감독에 대한 관리는 PLOS의 책임 편집에 대한 약속에 뿌리를 두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체크는 모든 PLOS ONE의 인용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물의 보고 및 감독이 높은 기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 - 이들의 전반적인 업무에 있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재현성을 위해 자금지원자와 기관은 큰 거래를 위한 중요한 무언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는 PLOS ONE에서 저널을 리드하고 있다고 느끼는 부분이다. 높은 수준의 감독은 최근 빈발하고 있는 표절에 대해 대중과 정치인들의 과학 커뮤니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연구제한 범위(Unrestricted scope) 결과의 공유가 많이 지연되는 것은 게시하고자 하는 연구 범위의 불필요한 제한때문이다. 저널은 종종 인용이 덜 되어 그들의 연구 영향력을 낮출 가능성 때문에 부정적인 연구 결과의 발행을 보류한다. 혹은 논문을 제외하는 것은 순전히 징계로 인한 것이다. 이 디지털 시대에 출판 공간의 제한은 없다. 인공적인 제한이 오직 정보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을 뿐이다. PLOS ONE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버리고 모든 주제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연구를 고려할 것이다. 10만번 째 PLOS ONE의 논문 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100000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4070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플로스 원;오픈액세스 저널; 2. PLOS ONE;Open access Jou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