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Taylor Francis, 무료 온라인 콘텐츠 검색 활성화를 주제로 한 백서 발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3-06-25 00:00:00.000
내용 온라인 콘텐츠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 해당 콘텐츠의 많은 부분은 비교적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또한 그 중 일부는 교육 , 학습 , 연구 목적과 관련해 잠재적으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하지만 ' 무료 접근 ' 이 반드시 ' 찾기 쉬운 것 ' 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Taylor Francis 에서는 사서의 관점에서 무료 온라인 콘텐츠 검색 능력 (discoverability) 과 관련한 문제를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실시한 바 있다 . 이 연구에서는 여러 포커스 그룹 연구 , 전화를 통한 심층 인터뷰 (teledepth interviews),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으며 , 해당 연구 내용은 교육 · 연구 기관들이 갖고 있는 무료 온라인 콘텐츠를 표면화시키는 얼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해당 연구 내용은 Taylor Francis 에서 발간· 배포한 백서를 통해 발표되었다 . 백서의 주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콘텐츠의 성장과 가치 - 사서들과 교수들은 무료 온라인 자원이 연구 프로세스에 더욱 큰 가치를 부여한다는 데 동의했다 . - 대부분의 사서들은 무료 온라인 콘텐츠가, 향후 유료 콘텐츠로 바뀔 만큼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 - 사서들은 전통적인 온라인 자원 ( 예 : 오픈액세스 저널 ) 에서부터 블로그 , 팟캐스트 (podcasts), 동영상 , 위키백과 (wikis) 같은 이용자 기반 콘텐츠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범위의 무료 온라인 자원이 가치가 있다고 본다 . 도서관에서의 자원에 대한 도전 - 사서들은 무료 온라인 자원들에 대한 수서· 목록 작업이 가능한 인적 자원은 제한되어 있다고 본다 . - 대부분의 많은 사서들은 무료 콘텐츠를 표면화시키는 데 보다 많이 투자하는 것이 해당 기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 콘텐츠 식별과 선택 - 각 기관의 무료 자원들을 보다 찾기 쉽게 만들기 위해 사서들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증가하는 자원의 양 , ( 해당 자원의 ) 영구적인 이용에 대한 불확실성 , 품질 평가의 어려움 - 콘텐츠를 어떻게 ` 열어 볼` 것인가를 식별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의 부족도 사서에게는 핵심적인 문제이다 . - 무료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결정할 때 사서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커리큘럼 / 연구 프로그램과의 관계성 , 출판업자에 대한 평판 , 목록 / 색인에 대한 평판 ( 예 :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도서관의 역할 - 교수들은 사서를 ' 콘텐츠 구매자 ' 로 본다 . 따라서 사서들은 온라인 무료 콘텐츠의 검색 능력을 강화시키고 , 이용 촉진과 검색을 위해 유료 콘텐츠와 통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이와 관련해 그러한 노력에 대한 투자 대비 수익(ROI)을 증명해야 한다 . 정보 활용 능력 - 사서는 정보 활용 능력 개발 측면에서 교수와 협업하는 등 , 해당 기관 내에서 보다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사서가 어떤 기관의 무료 콘텐츠를 적절히 선택해 표면화하는 데 있어 이용자들이 파트너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 업무 방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 이용자의 요구와 기대 - 도서관의 검색 시스템은 해당 도서관이 유료로 구독하는 자원 외에도 ( 무료 온라인 콘텐츠를 포함한 ) 좀 더 포괄적인 범위의 자원을 제공함에 있어 , 보다 더 신속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될 필요가 있다 . 출판업자의 역할 - 출판업자와 사서의 관점에서 ( 콘텐츠 제공에 대한 )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 일부는 출판업자들이 매우 제한된 책임만을 갖는다고 보는 데 비해 , 또 다른 이들은 주된 책임을 갖는다고 본다 . - 상업적 원문 제공 DB 의 오픈액세스 자원 범위는 가변적이고 제한적이다 . 따라서 출판업자들은 핵심적인 색인 자료에 포함되는 무료 출판물들의 고품질이 보장되도록 ( 콘텐츠 ) 제공자들과 협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 출판업자들은 사서와 이용자들이 콘텐츠의 품질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 콘텐츠 자원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위한 필터링 작업을 해야 한다 . 사서는 이용자들이 연구나 공부를 하는 데 있어 콘텐츠를 읽는 데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검색 시간을 줄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일반 검색 엔진은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필터링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 사서들은 특정 기관의 요구에 맞는 , 광범위한 정보 자원의 범위를 평가하고 표현하기 위한 방법론과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 무료 온라인 자원의 접근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과 혁신을 위해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1. 콘텐츠를 어떻게 ' 열어 볼 ' 것인지와 관련한 메타데이터 표준 생성과 채택 2. 하이브리드 저널 내 무료 기사에 대한 향상된 식별 체계 3. 무료 콘텐츠에 대한 영구적인 접근 및 아카이빙의 신뢰성 4. 검색 시스템에서의 무료 자원의 품질에 대한 종합적인 색인 5. 출판업자를 통한 무료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일관적인 이용 통계 제공 6. Link resolver(OpenURL 기반으로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링크를 제공하는 시스템 ) 를 통한 무료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통합 기능 제공 7. 무료 콘텐츠를 연계해주는 신뢰할 수 있는 광범위한 리포지터리의 개발 8. 도서관에서 표면화된 무료 온라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개선된 이용자 인터페이스 9. 학생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 보다 향상된 정보 활용 능력 개발 및 지원 훈련 10. 기관의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해 콘텐츠 ( 무료 및 유료 ) 의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 이번 연구는 전세계 이용자 및 도서관에서 보다 고품질의 무료 온라인 콘텐츠를 많이 검색하고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3060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무료 온라인 콘텐츠; 오픈액세스; 무료 콘텐츠 2. free online content; open access; fre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