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2009년 정보유통분야 주요 이슈와 2010년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0-02-22 00:00:00.000
내용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는 모든 매체에서 여전히 화제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2008년보다 상황이 더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듯했다. 고용시장이 여전히 취약할지라도 분명히 더 좋아진 기미는 보였다. ITI사의 콘텐트부문 부사장인 Dick Kaser는 “경기침체가 우리로부터 최상의 것을 끌어내고 있다. 우리는 재평가후 전략을 바꾸면서 성장하였고, 기본적으로 최상의 방법을 찾아냈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욱 창조적으로 바뀌었다.”라고 회고하였다. 실제로 경제위기는 우리가 가진 네트워크와 협력을 한층 더 진보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분주했던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고 올 한 해를 전망해보자. 2009년은 새로운 절약시대였다. 모바일웹, 엔터프라이즈 소셜 네트워킹, 오픈소스 솔루션, 도서 디지털화, 이북 리더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2009년은 140개의 문자로 공중비행하는 방법을 습득한 트위터의 해였다. 모바일 앱(mobile app)의 해였다라고 말하는 이도 있다. 콘텐츠 유통에서 변화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접근하는 시대에 모든 유형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업체들은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기 위해, 독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에 대한 비용을 어떻게 부과할지 계산하기 위해 고군분투중이다. 예를들면 콘텐츠 판매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출판사들이 연합하고 있다(Journalism Online 등). 대학출판부는 Scribd와 같은 사이트에서 도서를 판매중이다. 톰슨로이터나 브룸버그와 같이 뉴스와 정보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기업이 소비자 시장을 대추격하고 있다. 이북 유통채널은 급속한 성장과 변화를 겪고 있다. 이북 리더기는 새로운 기술이 혁신을 불러일으킴에 따라 현기증이 날 정도로 빠르게 소개되고 있다. 이북시장에서 독점적 위치에 있는 아마존과 출판사들이 경쟁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서점에서 또는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입수한 이북 콘텐츠가 자신이 가진 이북 리더기와 호환이 되는지 독점적 포맷(proprietary format)과 씨름하고 있다.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는 BookServer를 출시했는데,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도서를 빌려주는 오픈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다. 오픈 목록과 오픈 도서포맷에 기반한 BookServer model은 출판사, 서적상, 도서관, 심지어는 저자들이 자신의 도서목록을 랩탑, 폰, 넷북, 전용 리더기 등을 통해 독자들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BookServer는 지불처리, 도서관으로부터 대출, 무료로 공공이 접근할 수 있는 도서의 다운로드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많이 듣고 있는데, 가트너(Gartner)가 선정한 2010년 전략기술 탑10에서 1위를 차지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2009년 2위를 차지했다. 지금 우리는 이것을 원한다. 우리가 지금 필요로 하는 정보는 접근성이다. 독립적인 소비자 트렌드 조사기관인 trendwatching.com (www.trendwatching.com)에서는 이것을 “Nowism”라고 부르고 트렌드 리포트 “why currency is the new currency”에서 설명하였다. 이 트렌드의 동인은 풍부함, 경험집중, 온라인세계를 포함한다. 온라인 세계에서 디지털은 “즉시성(instant)”과 동의어가 되었다. 트위터는 실시간 현상을 의인화한 것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가 트위터 게시물을 검색하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다. 정보과다(information overload) 2009년 가을 AIIM은 기업이 겪고 있는 정보관리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춘 이북 시리즈를 처음으로 출시했다. 너무 늦기 전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필요로 하는 8가지 이유에서는 효과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동기가 어떤 이들에게는 복구불능의 재앙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그 8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정보의 격동 2. 유비쿼터스 컴퓨팅 3. 소셜화 4. 거버넌스 없는 협력은 재앙 5. 단순함의 시대 6. 트리허거(Tree-Hugger)*의 시대 도래 7. 더 이상 수작업으로 할 수 없음 8. 부실경영 위기가 떠오르고 있음. 도서관과 정보산업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는 2010년 트렌드를 도미니칸대학(Dominican University)의 문헌정보학과 교수인 Michael Stephens이 “Predictions for Social Technologies Libraries in 2010”에서 발표했다. 1. 소셜미디어정책은 더욱 널리 퍼질 것이다. “2010년은 많은 도서관이 프릭커 계정, 블로그, 위키, Library Thing을 가지게 되고 소셜 미디어를 공식화하는 티핑포인트를 기록할 것이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개발과 이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것이다. 블로깅을 위한 블로깅이 아니라 이용자의 피드백과 코멘트를 끌어내고, 웹개발시간을 단축시키며 무료 오픈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위한 블로깅이 될 것이다” 2. 평가가 제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도서관에서 소셜미디어의 사용에 대한 평가는 가장 새로운 영역이다. 2010년은 사실 한걸음 뒤로 물러나서 유효한 것과 유효하지 않을 것을 바라볼 수 있는 바로 그 때가 될 것이다. 최우선적으로는 소셜툴의 신규성(newness), 도서관 이용자와 직원들의 사용수준, 시간과 자원절감을 고려한 평가체계를 설계해야 한다. 3. 도서관은 소셜툴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커뮤니티 리더가 될 것이다. 러닝2.0을 제공했던 도서관은 소셜툴을 서비스에 통합하였다. 트렌드세터이자 강사인 도서관은 이들 소셜툴을 적절히 통합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증명할 것이다. 2010년에도 인터넷 기업의 인수합병은 지속될 것이다. 분석가 Sandeep Aggarwal은 인수합병이 빈번히 발생하는 상위 10가지 영역을 연구노트로 발표했다. 1) 클라우드 컴퓨팅, 2) 모바일인터넷, 3) 소셜미디어, 4) 버티컬 애드네트워크(vertical ad networks), 5) 버티컬 콘텐츠 사이트(vertical content sites), 6) 이북 리더, 7)국제, 8) 웹분석기, 9) SEM 기관과 다른 마케팅기업을 포함하여 상호작용적 에이전시, 10) 가격비교(comparison shopping) Outsell은 'Information Industry Outlook 2010 : A New Dawn, New Day, New Decade'라는 연차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정보 및 출판기업의 성공은 더 이상 콘텐츠나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다. 독특하고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향후 10년동안 성공과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경험의 시대에 진입하고 있으며, 세계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것이다라고 Outssell의 CEO이자 공동창업자 Anthea Stratigos는 말한다. 포레스트사의 애널리스트 2명이 뜨거운 이북시장에 대해 최근 전망하였다. 모바일폰과 넷북이 전용 이리더기에 대한 요구를 잠식시킬 것이다. Etextbooks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많아질 것이지만 판매는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NHN 포털전략 이람 이사는 2010년 한국에서는 모바일 트래픽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정하며 이용자들이 모바일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모바일 시장이 활성화되면 국내외 포털의 구도가 다시 한번 변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2010년은 이북에 있어 티핑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이북판매는 여전히 전체 출판시장에서 소량에 불과하다. 그러나 2008년 40.6백만달러에서 2009년 3/4분기 112.2백만 달러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0년 CES에서는 이북리더 기기가 쇼케이스를 휘덮었다. 다양한 기능을 갖춘 테블릿 PC의 출시가 단일 기능을 가진 이북 전용 리더기에 도전을 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애플태블릿의 출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두 개 스크린을 가진 멀티미디어 기기인 쿠리에 테블릿을 출시할 예정이다. ※ 본 기사는 Information Today, Inc의 메일진 “NewsLink”에 수록된 “2009년 리뷰와 2010년 트렌드 전망” 기사를 요약정리한 것임.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00203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콘텐츠; 클라우드 컴퓨팅; 정보과다; 소셜미디어; 인수합병; 유저경험; 전자책; 리더기 2. contents; cloud computing; information overloaded; social media; m a; user experience; e-book; r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