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지역클러스터 #903;네트워크의 구조분석 - 'Small-world' Networks 화 된 간사이 의료 및 큐슈 반도체산업 네트워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6-10-13 00:00:00.000
내용 지역클러스터 내에 형성되어 있는 산 #903;학 #903;관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권역의 첨단산업활동정도를 자우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는 이에 주목하여 네트워크가 가진 구조적인 특징을 다각적으로 파악한 후에 첨단산업의 집중입지나 성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분석방법을 도입하여 '킨키 광역경제권의 의료관련산업과 북부큐슈 광역경제권의 반도체산업'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지역ㆍ분야의 네트워크는 'Small-World' Networks 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2. 양 네트워크의 내부에는 크고 작은 그룹화 된 집단(모듈)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그들은 완만하게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다. 3. 킨키 의료관련산업에서는 동 업종에 속하는 기업군이 가로로 밀접한 결합을 하여 모듈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북부큐슈 시스템 LSI 등의 반도체산업에서는 중핵제조회사마다 종계열 모델과 가로 연계가 혼재하고 있어 양자의 아키텍츄어에 차이가 보였다. 4. 광역경제권단위에서 네트워크의 일체성이 높았다. 5. 미시적인 분석으로서 주요 허브에 주목해 보면 산업분야의 중핵기업, 연구대학, 상사 등이 네트워크의 중핵적인 위치(Connector Hub)를 점하고 있었다. 첨단기술산업의 집중과 성장이 뛰어난 2지역에 정보ㆍ지식의 신속한 교환ㆍ융합이나 공동사업, 산학연계에 적합한 광역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은 우수한 네트워크의 존재가 첨단사업육성에 기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같은 대규모ㆍ첨단산업이라 할지라도 중핵산업분야와 지역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의 구조에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상의 특징을 토대로 하면 효과적으로 네크워크확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구과제를 남기고 있다. 향후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지역의 네트워크 비교ㆍ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기하학적인 구조와 기능과의 관계를 더욱 극명하게 밝혀 클러스터ㆍ네트워크에 관한 구조분석방법의 정식화를 지향해 가고자 하며, '시간'의 개념을 새로이 도입하여 네트워크형성의 다이나믹스를 지배하는 요소에 대해서도 연구 해 가고자 한다. 1. 머리말 (1) 지역클러스터의 정의 (2) 네트워크의 가치 (3) 네트워크 구조와 혁신 창출과의 관계 2. 분석 방법론과 대상지역ㆍ분야 (1) 분석 방법론 - 3가지 방법 (2) 분석대상이 되는 지역ㆍ분야 3. 데이터와 정의 4. 분석결과 (1) 네트워크의 특징량 분석 (2) 네트워크의 가시화와 아키텍츄어의 특정 (3) 구조상 중요한 허브의 특정 5. 결론 6. 정책적인 암시 7. 맺음말 참고문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6020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