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중점 8개 분야의 특허출원 상황 통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1-16 00:00:00.000
내용 최근 일본은 과학기술 창조입국을 목표로 하고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연구개발의 전략적 촉진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특히 산업기술력의 강화는 신규산업 및 고용기회의 창조를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일본 정부는 2001년 3월에 각의에서 의결된 '제2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에서 생명과학, 정보통신, 나노기술 #8231;재료의 4개 분야를 중점분야로 정하고 전략적 기술개발의 방침을 도출하고 연구개발비를 중점적으로 투입하도록 의결하였다. 이 4개 분야를 포함한 8개 분야(생명과학, 정보통신, 나노기술 #8231;재료, 에너지, 제조기술, 사회기반, 프론티어) 에 대해 효율적 연구개발과 연구성과의 권리화를 촉진하고 전략적 지적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중점분야는 제3기 과학기술 기본계획(2006~2010)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해야 할 분야 로 지정되어 있다. 특허청에서는 이 중점분야에 관해 특허정보를 이용한 정보제공을 위해 위의 8개 중점분야의 기술에 관련된 특허출원에 대해 국제특허분류(IPC) 및 특허청 독자적인 키워드 등을 이용해 검출한 일본, 미국,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한 특허의 공개/ 공표 건수 및 등록건수를 정기적으로 공표하고 있다. 이 자료는 앞으로의 경영전략 및 연구개발 전략을 검토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1. 일본, 미국, 유럽, 중국, 한국, 대만의 특허공개/공표 및 등록건수의 데이터 축적범위는 2001년 1월 ~ 2006년 10월까지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2. 일본에서의 중점 8개 분야의 연간 공개 및 공표 건수 : 정보통신 관련 공개 및 공표 건수가 다른 분야의 건수보다 많이 나타났다. 나노기술 #8231;재료 관련, 생명과학 관련 건수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건수의 증가율은 에너지 관련분야가 전년대비 11% 증가하고, 사회기반 관련분야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표 1] 중점 8개 분야의 연간 공개 및 공표 건수 분야 2004년(건) 2005년(건) 변동/건수(건) 변동/비율(%) 생명과학 27,665 28,793 1.128 4 정보통신 63,220 61,507 -1,713 -3 환경 10,347 10,136 -211 -2 나노기술 #8231;재료 36,781 38,472 1.691 5 에너지 7,834 8.732 898 11 제조기술 18,709 18,295 -414 -2 사회기반 8,472 9,171 699 8 프론티어 419 402 -17 -4 3. 일본에서의 중점 8개분야의 연간 등록 건수 : 정보통신 관련분야의 등록건수가 다른 분야의 등록건수보다 많이 나타났다. 나노기술 #8231; 재료 관련분야, 생명과학 관련분야의 등록건수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건수의 증가율은 환경 관련분야가 전년대비 22% 증가하고, 정보통신 관련분야, 제조기술 관련분야, 사회기반 관련분야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표 2] 중점 8개 분야의 연간 등록건수 분야 2004년(건) 2005년(건) 변동/건수(건) 변동/비율(%) 생명과학 5,907 5,982 75 1 정보통신 13,828 15,037 1,209 9 환경 2,336 2,859 523 22 나노기술 #8231;재료 7,562 7,135 -427 -6 에너지 1,453 1,423 -30 -2 제조기술 3,596 3,917 321 9 사회기반 1,802 1,969 167 9 프론티어 180 169 -11 -6 4. 8개 분야에 관련되는 기술의 사례 공표된 건수는 각 중점분야에 관한 기술 전체를 망라적으로 추출한 건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중점분야에서 중요시되는 기술에 대해 특허청이 독자적으로 설정한 키워드, 국제특허분류(IPC)를 이용해 검출한 건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생명과학 게놈, 의학, 의료, 식료과학, 뇌과학, 바이오인포매틱스, 생태, 물질생산 등 정보통신 고속네트워크, 시큐리티, 가전네트워크, 고속컴퓨팅, 시뮬레이션, 입출력 환경 지구환경, 지역환경, 환경위험, 순환형 사회시스템, 생물다양성 등 나노기술 #8231;재료 나노물질 #8231; 재료(전자, 자기, 광학응용),나노물질 #8231; 재료(구조재료응용), 나노정보 디바이스, 나노 의료, 나노 바이오로지, 기초물성 등 에너지 원자력 에너지, 자연 에너지, 성 에너지, 에너지 이용기술 등 제조기술 고정확도 기술, 정밀부품 가공, 고부가가치 극한기술, 시스템 등 사회기반 방재, 국토기반, 교통 등 프론티어 우주, 해양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0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