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배경 ○ 기술사 제도의 방향에 대해 산업구조와 기술자 ( 엔지니어 ) 및 기술사 제도 사이의 잘못된 연계 가능성 ,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 동등성 및 통용성 , 기술사 자격의 활용 촉진 방법 등의 문제가 제기됨 ○ 제 4 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기초 연구 및 인재 육성 강화과학기술을 담당할 인재 육성의 추진방책으로「국가의 기술자 자격 제도 보급 및 확대와 활용 촉진 도모」「산업계의 기술사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와 활약 촉진 기대」가 기재됨 ○ 이에 기초해 기술자 #12539; 기술사의 현상 과 과제 , 고도 기술자에게 기대되는 역할에 대해 정리 □ 기술자 #12539; 기술사의 현상과 과제 ○ 현상 - 노하우가 있는 많은 베테랑 기술자가 퇴직하는 시대를 맞이해 신진 기술자의 기술력 저하 , 베테랑 기술자의 기술 #12539; 노하우를 매끄럽게 차세대에게 계승할 필요가 있음 - 신규 사업 분야로의 조기 참여와 글로벌 비즈니스 전개를 위해 기업 내외 경력 기술자의 채용 등과 함께 전문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자율적인 기술자 육성이 필요 - 기술사는 산업계의 기술 응용 부문에서 최고 수준의 권위가 있고 유용성을 가지는 자격이라는 인식이 지배적 - 기술사 자격이 강점을 발휘하는 부문은 공적인 사회 인프라 계통의 사업 부문으로 그 기술 부문은 전기전자 부문 , 상하수도 부문 , 기계 부문 등 ., 한편 디지털 제품과 가전 제품 등 소비 계통의 사업 분야에서는 기술사의 인지도가 높지 않음 ○ 과제 - 이노베이션을 전개할 수 있는 기술자 육성 #12539; 확보 - 과제 설정 #12539; 과제 해결 ( 솔루션 제공 ) 을 할 수 있는 기술자 육성 #12539; 확보 - 기업 경영을 할 수 있는 센스도 가지고 있는 기술자 육성 #12539; 확보 - 기술사 자격 보유자의 기업 내외에서의 효율적인 활용 ( 관공서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의 활용 분야가 많아지면 기술사의 효율적이 활용이 도모되어 활약의 장 ( 場 ) 이 확장 ) -CPD( 계속적인 연찬 ) 에 의한 질 향상과 CPD 시간의 확보 - 고도 기술자에게 기대되는 역할에 기초해 종합 기술 관리 부문의 기술사 자격도 취득 □ 고도 기술자에게 기대되는 역할 ○ 부단한 이노베이션과 선진적인 연구 개발을 도모하고 비즈니스를 전개 ○ 관련된 사업 #12539; 업무에 관한 기술력 향상과 기술 기반 정비를 도모 ○ 관계되는 학회 #12539; 협회 등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러한 활동을 리드 ○ 기술력 #12539; 관리 능력과 더불어 폭 넓은 교양을 익히고 기업 내뿐만 아니라 고객 #12539; 학회 #12539; 협회 등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기술자 ○ IEC #12539; ISO #12539; ITU 등 국제 규격 제정 활동에 참여하고 전략적으로 활동을 전개 ○ 경영적인 시점을 가지고 기술 개발 #12539; 기술 전개 #12539; 신규 사업 전개 □ 제언 ○ 산업 구조와 기술자 #12539; 기술사 사이의 잘못된 연계 대응 - 자격을 가지고 있지 않은 우수한 베테랑 기술자에 대한 수험 요건 완화 , 수험 기회 증가 - 국가의 과학기술 비전과 과학기술 정책 #12539; 시책 등에 근거해 기술 부문 #12539; 선택 과목의 통합 #12539; 폐합 #12539; 추가 검토 -CPD 시간의 기업 내 연수 시간 상한 설정 재점검 및 CPD 시간 완화 ○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인 동등성과 통용성에 대한 인식 - 향후 실질적인 자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CPD 등록 #12539; 운용 개선 - 사회에서 활용 #12539; 활약할 수 있는 젊은 세대에서 자격 취득이 가능한 배려가 필요 -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인 통용성은 이전보다는 증가했지만 아직은 진전 단계 ○ 기술사 자격의 사회에서의 평가 향상과 활용 촉진 - 공적인 사업 #12539; 업무 분야에서의 활용 범위 확대 - 기업에서는 기술사의 인지도 향상에 노력하고 제 3 자 평가자 및 조사 기술자로서의 지위 부여 구조 등도 검토해 활용 촉진 * 문부과학성 과학기술 #12539; 학술심의회 기술사 분과회 제 24 회 자료 (201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