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산학관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에 공헌 1. 국제적인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 bull; iPS 세포연구 지원의 네트워크(해외 포함) 지원 : 세계 네트워크의 빠른 조성. 미국 등과 국제 네트워크 형성. bull; 철계 초전도 지원의 네트워크(해외 포함) 지원 : 발 빠른 국제 심포지엄 개최, 해외의 평가를 확정. 미국 FA 등과 협력해 국제 워크숍 개최, 이 분야 연구에 공헌. 2. 과학기술외교 추진 bull; 과학기술과 외교를 연계해 세계 공통이익 실현을 위해 일본의 위력 향상 - 일본ㆍ프랑스 정보학 연계 거점 설립 - 인도네시아 종합 방재책에 대한 공헌 등 3. 과학기술정보 기반 정비 bull; 정보가 범람하는 현대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을 가속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정보의 기반정비가 불가결. -일본의 현상(정보기반이 취약): 논문, 특허, 연구자, 기술내용 등이 흩어져 없어짐. 전자화율이 낮음. -유럽ㆍ미국의 대처(정보유통을 가속): 정부와 관계 기관이 연계해 효과적으로 정보 발신. 비약적으로 전자화 추진. bull; 대폭으로 뒤처지고 있는 일본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처 강화가 필요 -과학기술정보 통합 사이트(J-GLOBAL)을 2009년 3월부터 개설 -전자화를 추진해 유통을 촉진하기 위한 호소 개시 4. 산학관의 논의의 장과 네트워크 형성 bull; 현상: 학계, 산업계, 정부, 독립법인 사이에서의 과학기술에 의해 해결해야 할 장기적인 목표가 공유되고 있지 않음. 조직의 벽에 의해 결집하기 어려움. rarr; 학계, 산업계, 정부, 독립법인이 하나가 되어 과학기술에 의해 해결해야 할 장기적 목표를 공유하고, 해결하기 위한 논의의 장 및 네트워크 구축(산학관 협동 플랫폼) bull; 산학관 협동 플랫폼의 취지 :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적절한 목표를 공유하고, 새로운 기초지식에 의해 연구개발 과제를 해결하여 이노베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논의의 장 및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bull; 효과 -산학관: 네트워크 구축(과학기술과 자원이 최적의 장소에 최적의 시점에서 유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구축됨.) -산: 제품화 연구에 대한 집중 -학: 기초연구의 활용 및 방향 제시 -관: 펀딩 사업에의 반영 5. 인재육성을 위한 대처 -현재, 과학기술진흥기구의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 사업 등에서는 다수의 포스트닥터와 대학원생 등의 고용 실적이 있음. 또한, 사회보험 등도 고려해 고용하는 노하우와 실적을 보유. -산학 네트워크에의 적극적인 참가를 촉진해 필요한 인재상ㆍ장래의 직무경력 등을 스스로 생각하는 기회, 이노베이션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을 추진할 탁월한 능력을 형성할 기회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