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2013년 과학기술 중요 시책 액션플랜(라이프 이노베이션)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7-11 00:00:00.000
내용 □ 심신 모두 건강하고 활력 있는 사회의 실현 (1) 사회적으로 중요한 질환의 예방 ○ 현재, 치유 곤란하고 장애나 요양 간호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질환이나 사회적·가정적 영향이 큰 질환(특히 치매, 뇌졸중, 심근경색, 난치병)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질환에 대해, 유전자, 단백질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체 정보를 수치화한 지표(바이오 마커)나 생체 이미징을 이용 ○ 개인 특성에 따른 적절한 시기와 수법에 의해 치료적인 개입을 실시해, 해당 질환의 발증을 방지, 지연시키는 새로운 예방 의료(선제 의료(조기 의료 개입))의 실현을 목표 ○ 중점적 대응 - 개인 특성에 주목한 예방 의료(선제 의료(조기 의료 개입))의 추진 (2) '암 등의 생활 습관병, 정신·신경질환 등의 치유율 향상 ○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10년 후의 출구를 확인하고, 조기 발견 및 신규 치료법(의약품, 의료기기, 치료 기술)의 개발, 당뇨병의 합병증인 신부전, 심근경색 등의 발증 방지, 우울증, 치매, 발달 장애 등의 컨트롤에 필요한 진단 마커의 탐색 및 화상 진단법의 개발 등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개발, 신약 개발·의료 기술의 지원을 한층 가속화 ○ 중점적 대응 - 암의 혁신적인 진단·치료법의 개발 - 생활 습관병의 합병증에 특화한 혁신적인 예방·진단·치료법의 개발 - 우울증, 치매, 발달 장애 등의 혁신적인 예방·진단·치료법의 개발 (3) 신체·장기 기능의 대체·보완 ○ 향후의 의료 응용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가진 재생 의료 기술에 대해, 일본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포지션에 있다는 우위성을 살려, 사회 환원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 개혁을 진행하면서 연구 개발을 강력하게 추진해, 조기 실용화를 목표 ○ 중점적 대응 - 재생 의료 연구 개발 (4) 새로운 의료 기술에 대한 평가 기준의 설정 ○ 의약품, 의료기기, 재생 의료 등의 새로운 의료 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확보에 대해 과학적 합리적 수법에 근거한 평가 기준이 불가결 - 또, 이러한 평가 기준의 정비 충실에 의해 심사 투명성 및 개발 예측 가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뛰어난 의약품·의료기기의 개발 촉진을 기대 ○ 의약품, 의료기기, 재생 의료의 규제에 대해 각 특징에 따른 합리적 수법 및 평가 기준의 설정을 실시 ○ 중점적 대응 - 의약품, 의료기기, 재생 의료 등의 새로운 의료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 과학(regulatory science)의 추진 □ 고령자 및 장애자가 자립할 수 있는 사회 실현 (1)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의 생활의 질 향상 ○ 고령자 및 장애아·장애자, 소아 질환환자의 일상 생활 활동(ADL)의 개선, 간병인의 부담 경감, 고령자 및 장애아·장애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어 기기·로봇·서비스, 보조 기기·시스템의 개발·도입이 이루어져 고령자 및 장애아·장애자의 기분에 배려하면서, 자립이 진행되는 것을 기대 ○ 또, 관련하는 검사·진단·의료 기기의 개발에 의해 자택에서의 검사, 치료·케어가 진행되는 것이 기대 ○ 아울러, 국제 경쟁력의 높은 케어 기기의 한층 더 연구 개발 강화, 가속을 실현해, 생활 지원 기기 산업의 발전을 촉진 ○ 중점적 대응 - 고령자 및 장애아·장애자의 기능 대상·자립 지원 기술 개발 - 소아의 성장 질환의 예방과 예후의 개선 *제3회 라이프 이노베이션 전략협의회(2012.7.5) 자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12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