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과학 분야에서 구글 웨이브의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09-08-28 00:00:00.000
내용 2009년 8월 22일 런던에서는 웹에 일가견이 있는 과학자들이 모이는 자리인 Science Online London 콘퍼런스가 있었다. 이 콘퍼런스는 인터넷이 과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실무, 문화 등를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를 토론하는 장이다. Nature 지에서는 생화학자인 Cameron Neylon(영국 사우샘프턴(Southampton) 대학교)을 취재하여 과학자의 입장에서 구글 웨이브가 과학에서 업무를 어떻게 변화시킬 지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았다고 한다. 그는 과학자들이 구글 웨이브를 어떻게 사용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구글 웨이브는 공동저작에서 사용되어 논문 작성을 더 빨리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문서를 실시간 탐색하는 자동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아 연관된 과학 문서를 연결하고 용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텍스트를 추가하고 또한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바뀌는 그래프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는 구글 웨이브가 논문 작성 외 다른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실에서 연구노트로 사용된다면 그 연구노트는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다른 연구자와 공유되어 과학자들이 실험 과정에서 현재보다 더 신속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기술의 발달에 민감한 사람들 사이에서 구글 웨이브는 많은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1980년대 학술 연구자들 사이에서 e-mail이 퍼져나가듯이 일부 과학자들은 특정 업무에 구글 웨이브를 적용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결코 그와 같은 현상이 다시 일어날 거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09080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구글 웨이브; 과학자 2. real-time communication; google wave; scien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