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연구의 필요성 ○ 러시아는 기초과학과 원자력,우주, 생화학 등 거대 군사과학의 세계적 강국이지만 이들 기술의 상업화(민수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러시아 기술은 미국, 일본 등 서구의 선진과학기술과 다른 독특한 발달 배경을 가지고 있어 서구 기술선진국을 능가하는 세계적 선진 과학기술 강국을 지향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가장 적합한 과학기술 협력 상대국이라 평가할 수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러시아의 과학기술 분야의 주요정책, 전략, 연구개발사업 및 과학기술조직 등에 대한 동향 추적 및 조사분석을 통하여 국내 과학기술 관련 정책의 개발 및 개선, 연구개발자원의 효율적 활용,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 개발능력 향상, 한국과 주재국간 주요 협력사업의 발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하는 것임. - 목 차 - 1. 러시아의 과학기술행정체제 1) 러시아의 과학기술 행정체계도 2) 각 기관별 개요 2. 러시아 연방의 과학기술정책 기조 1) 대통령 과학·첨단기술회의 개최 2) 대통령 과학·첨단기술회의 개최 결과에 대한 분석·평가 3. 러 연방 과학기술 예산 추이 4. 러시아 과학아카데이(RAS)총회 5. ISTC가 구축한 CIS(러시아)연구개발 관련 정보 소개 6. 러시아 CIS 교포과학자 현황 (첨부: CIS 과협 주최 생명공학 세미나 개요) 7. 일·러 과학첨단 기술 포럼 개요 8. 한·러 과학기술국제심포지움 개요 9. 러시아 자연과학 아카데이 개요 10. 러시아 산업과학기술부 장관 2003년 신년사 및 평가 11. 일반과학기술동향(11건) *yeskisti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