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lsquo;중국 바이오기술 12차 5개년 발전계획(전문) rsquo; 발표에 관한 통지 (*환율: 런민비 1위안=한화 약 179.74원, 미화 1달러=한화 약 1,146원 / 2011.11.29 기준) ○ 배경 - 바이오기술은 오늘날 국제 과학기술 성장을 위한 주요 원동력이 되었고, 바이오산업은 이미 인류 건강, 양식, 에너지, 환경 등 주요 문제에서 중대한 전략적 의의를 지녀 전 세계 국가간에 펼쳐지는 경쟁의 이슈가 되었다. - 에서는 이미 바이오기술을 과학기술 발전의 5대 중점 전략 가운데 하나로 제시했으며, 에서는 바이오 산업을 전략적 신흥 산업 가운데 하나로 편입시켰다. - 이에, 중국의 바이오기술 및 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을 발표하는 바이다. ○ 내용 1. 중국 바이오기술 현황 및 수요 (1) 바이오기술은 21세기 과학기술 발전의 고지다. - 과거 10년간 생명과학, 바이오기술 및 관련 분야의 논문 총수는 이미 전체 자연과학 논문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 게놈학, 단백질 조직, 줄기세포 등 첨단 바이오기술의 발전은 생명의 세계에 대한 인류의 인식 수준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렸다. - 의약 바이오기술은 인류의 건강 수준과 삶의 질을 끌어올렸다. - 농업 바이오기술은 농업 제품의 생산력과 수준을 높이고 농업 생산 원가를 낮추었다. - 산업 바이오기술은 lsquo;친환경 제조업 rsquo;의 성장을 이끌어 내어 오염물 배출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원가를 낮추었다. - 바이오 에너지는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 환경 바이오기술은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생태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2) 바이오기술은 세계 각국이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핵심이 되었다. - 미국과 영국, 일본, 한국, 인도 등지는 각각 바이오기술에 관한 성장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정책 조치를 마련하며 바이오기술에 대한 자금 투입을 확대하고 있다. (3) 바이오기술이 이끄는 바이오산업은 21세기 경제의 새로운 성장점이 될 것이다. ① 전세계 바이오기술 산업 규모 - 전세계 바이오기술 산업의 매출액은 연평균 30%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 2008년도 전 세계 제약+바이오기술+생명과학 산업의 매출액은 9,170억 달러(한화 약 1,051조 원)에 달했는데 그 가운데 제약 분야는 6,841억 달러(전체 대비 74.61%), 바이오기술 산업은 1,951억 달러(21.27%)를 차지했다. - 2010년 기준, 전 세계(주로 미국, 캐나다,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바이오기술 기업은 4,600여 개로, 그 가운데 상장된 바이오기술 기업은 622개에 달했다. - 상장된 바이오기술 회사의 총 매출액은 846억 달러(한화 약 97조 원), 연구개발 투입은 228억 달러(한화 약 26조 원), 순이익은 47억 달러(한화 약 53,862억 원)에 달해 2009년도 대비 30% 성장세를 보였다. ② 중국 바이오기술 산업 규모 - 중국의 2009년도 바이오기술 산업 생산액은 1.4조 위안(한화 약 252조 원)에 달했는데 그 가운데 의약 산업 생산액이 10,381억 위안(한화 약 195조 원), 바이오 농업 분야가 1200억 위안(한화 약 21조 원), 바이오 제조가 1,800억 위안(한화 약 31조 원), 바이오 에너지가 약 280억 위안(한화 약 5조 원)을 차지했다. (4) 바이오기술은 인류의 중대 문제를 해결하는 돌파구이다. (5) 바이오기술은 바이오 안전을 위한 지지대가 될 것이다. 2. 총체적인 방향과 지도원칙 (1) 총체적인 방향 (2) 지도원칙 1) 전체적으로 업무를 배치한 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2) 혁신을 추구하고 산업을 지원한다. 3) 일부와 전체를 아울러 보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시도한다. 3. 발전목표 - 12-5기간, 중국의 바이오기술 발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바이오기술 자주혁신 능력을 현저하게 끌어올려 바이오기술의 전반적인 수준이 세계 선진 대열에 들어가게 하고 일부 분야는 세계 선두 수준까지 끌어올린다. - 바이오의약, 바이오 농업, 바이오 제조, 바이오 에너지, 바이오 환경보호 등 산업을 빠르게 성장시켜 바이오 산업이 기본적으로 형성되게끔 하여 바이오 산업이 국민경제를 뒷받침하는 지주 산업 가운데 하나가 되게 하고 중국이 바이오기술 강국, 바이오산업 대국이 되게 한다. - 그 가운데 SCI 논문 발표 수량이 세계 3위에 이르게 하고 발명 특허 신청 및 권한위임 수량 기준으로 세계 3위 이내에 들어가며, 바이오기술 연구자가 30만 명 이상 되게 하고, 바이오 기술 인적자원 기준 세계 1위를 차지하게 하며, 바이오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이 15% 이상을 유지하게끔 한다. 4. 중점 임무 (1) 앞을 내다보는 의미에서의 기초연구를 강화한다. 1) 농업과학 2) 인류 건강 과학 3) 산업 바이오과학 (2) 일련의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1) 조직학 기술 2) 합성 바이오학 기술 3) 바이오 정보기술 4)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기술 5) 유전자 치료 및 세포치료 기술 6) 분자 분리형 및 개체화 치료 기술 7) 바이오칩 및 바이오 영상 기술 8) 바이오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기술 9) 바이오 촉매엔지니어링 기술 10) 제약 발견 및 약물 분자 설계 기술 11) 동식물 품종 설계 기술 12) 바이오 안전핵심 기술 (3) 일련의 중대 제품과 기술 시스템을 연구개발한다. 1) 바이오의약 기술 및 제품 2) 바이오 농업기술 및 제품 3) 바이오 제조기술 및 제품 4) 바이오 에너지기술 및 제품 5) 바이오 환경보호 기술 및 제품 (4) 바이오기술 혁신능력 구축 강화 1) 국가 중점실험실 및 국가 공정기술연구센터 건설 2) 바이오기술 산업화 기지 건설 3) 자원공유를 위한 중대 과학기술 기초시설 건설 5. 보장 조치 (1) 체제 개혁 혁신을 심화하여 국가 바이오기술 및 산업의 발전을 위한 협조메커니즘을 완비한다. (2) 다양한 투입 메커니즘을 수립하여 세금 및 금융등의 정책을 통해 지원역량을 강화한다. (3) 산학연 협력을 격려하여 바이오기술 기업의 혁신능력을 강화한다. (4) 지식재산권 제도를 완비하여 양호한 격려 제도를 구비한다. (5) 인재의 영입과 육성 모델을 혁신하여 수준높은 바이오기술 인재 그룹이 육성되게끔 한다. (6) 국제 및 지역간 협력 기회를 확대하여 외국의 우수한 기술인재 자원을 충분히 활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