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 2005년 고등교육기관의 과학기술활동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4-09 00:00:00.000
내용 고등교육기관은 중국 과학기술활동의 중요한 역량이며, 특히 기초연구활동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의 과학기술인원과 과학연구경비방면에서의 투자가 또 한단계 상승하였으며, 논문과 특허권 산출에서도 진일보 제고를 가져왔다. 1. R D인원 5년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실현하다. 고등교육기관은 풍부한 과학기술 인력자원을 갖고 있어 R D활동 진행에 아주 유리하다. 2005년, R D활동에 참가한 고등교육기관 인원은 총 22.7만명으로서 역사 최고 기록을 돌파하였으며, 2004년보다 1.5만명 증가되었다. 2001년이래, 고등교육기관 R D인원수는 5년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 R D인원중 기초연구, 응용연구와 실험발전에 참여한 비율은 각각 34%, 50%와 17%였다. 고등교육기관 R D인원은 전국 R D인원중 16.6%를 차지하였으며, 기초연구인원은 전국 기초연구인원중 67.6%를 차지하였다. 2. R D경비 진일보 증가되고, 기초연구활동이 특출하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 R D경비는 242.3억위안으로서 지난해보다 41.4억위안 증가되었는데, 자금래원으로 볼 때, 133.1억위안은 정부에서, 88.9억위안은 기업에서, 16.3억위안은 국내 기타 기구에서 온 것이고, 기타 4.0억위안은 외국자금이었다. 정부와 기업자금은 각각 지난해보다 24.3억위안과 14.4억위안 증가되었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 R D경비는 전국 R D경비의 9.9%를 차지하여 지난해와 비슷하였는데, 그중 기초연구, 응용연구, 실험개발 경비가 각각 23.4%, 51.6%, 25.0%를 차지하였다. 기업과 연구기구에 비하여, 고등교육기관 R D활동은 주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에 집중되었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 기초연구경비는 전국 기초연구경비의 43.2%를 차지하였으며, 응용연구경비는 전국 응용연구경비의 28.85를, 실험발전경비는 3.25%를 차지하였다. 3. 부분학과 R D활동이 아주 활발하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에서 R D과제에 투입된 인원수는 22.5만명이었고, 활동경비는 193.5억위안이었는데, 각각 전년 고등교육기관 R D인원과 활동경비의 99%와 80%를 차지하였다. 활동경비 분포정황으로 보면, 고등교육기관 R D과제 활동은 58개 1급학과에 모두 분포되었다. 그중, 16개 학과의 R D과제경비가 5억위안을 초과하였는데, 총 경비는 142.2억위안으로서 총 금액의 73%를 차지하였으며, 당해 고등교육기관 R D활동의 주류학과를 대표하였다. R D활동중 인기 학과로는 전자통신과 자동제어기술, 계산기과학기술, 재료과학, 기계공정 4가지 학과였다. 이 4가지에 투자된 경비는 59.7억위안으로서 총금액의 31%를 차지하였다. 도표1 2005년 고등교육기관 R D과제 활동경비 5억위안을 초과한 학과 학과 및 R D과제 활동경비 5억위안을 초과한 학과 10억위안 이상 전자통신과 자동제어기술(19.36), 계산기과학기술(13.92) 재료기술(13.38),기계공정(13.03) 7-10억위안 토목건축공정(9.48), 화학공정(8.15), 동력전기공정(7.57), 생물학(7.52), 임상의학(7.42), 화학(7.08) 5-7억위안 우주과학기술(6.92), 교통운수공정(6.66), 관리학(5.65), 지구과학(5.48), 농학(5.41), 광산공정과 기술(5.17) 4. 과학기술 논문수량이 신속한 상승추세를 유지하다. 2005년, (SCI)에 수록된, 중국연구인원을 제1작가로 하는 과학기술 논문중, 고등교육기관 논문이 49438편으로서 2004년보다 14491편(41%) 증가되었으며, 상승폭도가 지난 몇년간의 최고치를 돌파하였다. 최근 년간, 고등교육기관 국내논문은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였는데, 2005년에는 23.5만편으로서 2004년보다 2만편(9.3%) 증가되었고, 고등교육기관에서 발표한 국내논문은 전국 국내논문 총수의 66.1%를 차지하였다. 5. 특허신청과 획득한 수량이 새로운 역사기록을 창조하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에서 신청한 특허수는 총 2만건으로서 2004년보다 53.3% 증가되었는데, 그중 발명특허 신청수가 14643건으로서 2004년보다 51.2% 증가되었으며, 고등교육기관 총 특허신청수의 73.5%를 차지하였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에서 획득한 특허권수는 7399건으로서 2004년보다 34.4% 증가되었는데, 그중 발명특허권 획득수가 4453건으로서 2004년보다 27.8% 증가되었으며, 고등교육기관 총 특허권 획득수의 60.2%를 차지하였다. 6. 대량의 과학기술성과 기술시장을 통하여 전환을 실현한다. 2005년, 고등교육기관에서는 기술시장과 총 4.2만건의 기술양도계약을 체결하였는데 2004년보다 0.28만건 증가되었으며, 계약달성금액은 122.6억위안으로서 2004년보다 6억위안 증가되었다. 계약달성금액으로 보면, 2005년 고등교육기관에서 양도한 기술중 68%가 각 유형의 기업에 의하여 구매되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6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