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인도 바이오기술 발전 전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1-23 00:00:00.000
내용 1. 개 요 ○ 인도 정부는 제11차 경제개발 계획(07~11)기간 동안 바이오기술 분야 예산을 제10차 계획기간(02~06) 예산의 4.5배로 증가시키는 등 정책적 관심을 집중 ○ 최근 인도 바이오기술부(DBT : Dept of Biotechnology)는 11차 계획 기간 동안 추진할 바이오기술 관련 R D, 기술이전, 지식재산관리, 규제이슈, 인력 양성 등에 대한 발전전략을 수립 2. 인도 바이오기술 발전 전략의 주요 내용 (1) 추진체계 정비 ○ 국가 바이오기술 규제 기관(National Biotechnology Regulatory Authority) 설립 - 유전적으로 변형된 제품 및 프로세스의 바이오안전성을 규제하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전문적인 기구 설립 ○ 부처간 조정 위원회(Inter-ministerial Coordination Committee) 설립 - 여러 부처에 걸쳐 있는 바이오기술 발전 관련 이슈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강력한 권한을 가진 부처간 조정 위원회가 설립되며, 바이오기술부 장관이 위원회의 의장직 수행 (2) 바이오기술 산업 발전 촉진 ○ 바이오산업 파트너쉽 프로그램(BIPP: Biotech Industry Partnership Programme) 신설 - 정부와 기업(주로 대기업이 참여)이 재원을 공동 부담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업이 지식재산권을 소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정부에 적정 수준의 기술료 지급 ○ 현재 추진되고 있는 중소 바이오기업 혁신 지원 프로그램(SBIRI: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Industry) 확대 ○ 바이오기업 지원 위원회(BIRAC : Biotech Industry Research Assistance Council) 설립 - 바이오기술 혁신 성과물의 사업화를 위해 창업 및 재정적 #8228;제도적 지원 (BIPP 사업 관리 등) - 바이오기업가들의 국내외 지식 네트워크 형성 지원 (3) 세계적 수준의 인력 양성 ○ 생명공학 분야의 '스타 칼리지(Star College)' 육성 - 대학생들에게 생명공학 및 바이오기술 관련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을 '스타 칼리지'로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지원 추진 ∙기초 생명공학 분야 교수의 지식 및 기술 향상 프로그램 추진 ∙실험재료 #8228;시약 지원 및 커리큘럼 개선 ∙창조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여름 학교 개설 등 ○ 대학 내부에 바이오기술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센터를 설립 -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의 새로운 연구 아젠다를 제시하고 연구 인프라 및 교수를 지원 ∙화학공학과 생물학의 융합을 통해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치료 발전 도모 ∙바이오물질 생산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 ∙농업, 건강 및 환경 분야에 나노과학 응용을 포함한 새로운 기술 플랫폼 등 ○ 젊은이들이 생명공학 관련 전공 및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인 - 박사 및 박사후 프로그램 확대, 바이오의약 산업 #8228;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학위 등 산업 지향적 프로그램 실시 ○ UNESCO 바이오기술 과학 #8228;교육 #8228;혁신을 위한 지역 센터 설립 - 학제간 분야의 고급인력 양성 및 병원 #8228;의과대학에 단기 과정을 개설하여 생명공학 분야에 입문하고자 하는 학생을 유인 ○ 해외 과학자 유치 - 유학생들이 다시 인도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젊은 박사급 연구자들에게 3~4년간 R D 보조금 지급과 함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유인정책 실시 -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훈련 프로그램 확대 ○ 바이오기술 분야의 우수센터 (Centers of Excellence) 설립 - 다양한 분야의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들간의 협력을 통해 다학제적인 연구 수행 - 11차 계획 기간 동안 50개의 센터 설립 계획 ○ 기술이전 및 지식재산권 관련 역량 확충 - 국가 및 지역 센터를 대학과 연계하여 교육 실시 및 해외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 (4) 혁신과 시너지 창출 ○ 기술 클러스터(Technology Clusters) 설립 - 바이오기술은 기술의 성격상 학제간 연구를 필요로 하며, 연구개발시설과 기업이 함께 입지하여야 하므로 클러스터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 - 현재 4개 분야의 클러스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음 ① Mohali, Punjab에 위치한 농산물 기술 클러스터 ② Faridabad Haryana에 위치한 건강과학 바이오기술 클러스 ③ 동물 과학 및 바이오기술 클러스터 ④ 해양 과학기술 클러스터 ○ 바이오기술 인프라 강화 - 11차 계획 기간 동안 바이오기술 파크 10개 이상 구축 - 유전자변형식품(GMO)/유전자변형생물체(LMO) 테스트 시설 - DNA 및 줄기세포 은행, 유전자 은행 - 바이오안전 Ⅲ #8228;Ⅳ등급 연구실 등 (5) 새로운 정점 만들기 (Scaling New Heights) ○ 거대 도전 프로그램(Grand Challenges Programme) - 국가적 #8228;국제적 논의를 통해 농업 #8228;건강 #8228;에너지 #8228;환경 분야에서 바이오기술의 성과물을 응용하여 해결될 수 있는 이슈를 선정 - 다학제간, 민관협력을 통한 프로그램 수행 착수 ○ 주요 영역에서 새로운 종류의 기관 설립 - DBT는 유전정보번역, 기업가정신을 가진 인재 양성 등 인도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나 현재의 역량은 미흡한 영역*과 관련된 기관을 설립할 것을 제안 * 건강과학기술 분야의 유전자번역 연구, 줄기세포공학 및 재생의약, 동물 바이오기술, 해양 바이오기술, 의약 유전체학 및 게놈 등 (6) 새로운 법률 제정 ○ 공공재원 R D에서 창출된 지식재산권 보호 #8228;활용 및 규제법 - 본 법안은 공공재원 R D를 통해 창출된 지재권의 사업화 촉진 및 정부와 비정부기관간의 협력, 중소기업 혁신 강화 등을 담고 있음 ○ DNA 프로파일링법 - 현재 제한된 기관에 의해서만 제공되는 DNA 정보 서비스를 확대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 국회에 상정될 예정 - 'DNA 프로파일링 위원회'를 설립하여 DNA 정보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 인허가 및 관련 기준 마련 등 권한 부여 - 위원회는 용의자 및 범죄자 DNA 정보 DB를 관리하여 범죄 수사 및 범죄 재발 방지에 기여 ○ 줄기세포 연구 가이드라인 마련 - DBT와 인도 의학연구 위원회(ICMR) 공동으로 줄기세포 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으며 전국적으로 배포될 예정 (7) 사회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기술 개발 ○ 일반국민의 기술 이용 촉진을 위한 유전정보 해석 추진 - 다음과 같은 분야에 대해 신속한 자금 제공,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이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효성있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미션 중심의 접근임 ∙게놈, 정보학 및 식물품종개량을 통한 농작물 디자인 ∙건강을 위한 새로운 식품 ∙차세대 백신 및 진단기술 ∙일반적인 질병을 위한 바이오약품 등 사회적 요구와 관련된 분야 (8) 국제협력 강화 ○ 국제 협력과 파트너쉽은 지재권 창출, 생물 물질의 원활한 국가간 이동 및 상품 판매를 위한 세계시장 접근에 있어 중요 - R D 협력은 WHO, CGIAR(국제농업연구협의단), MIT-하버드 대학, 스탠포드 대학, Welcome Trust(영국재단) 등 주요 국제연구소/기구 등과 추진될 것임 3. 정리 및 시사점 ○ 인도의 바이오기술 발전 전략은 추진체계 정비에서부터 인력양성, 국제협력 등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인 측면에서 바이오기술 및 산업 발전 방안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이 두드러짐 - 대기업과의 협력 파트너쉽 프로그램인 BIPP 및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인 SBIRI, 4개 분야의 기술 클러스터 등 대학 #8228;공공부문과 기업간의 협력을 통한 바이오기술 혁신 강화 - 사회적 문제 해결에 있어 바이오기술의 역할을 강조하는 한편, 'DNA 프로파일링 법(안)' 등과 같이 바이오 정보의 다양한 활용을 추진 - 인력양성 및 국제협력에 있어 UNESCO, WHO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조 ○ 우리나라 현황 및 시사점 - 공공부문의 바이오기술 분야 투자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바이오기업 수 또한 미국, 일본, 프랑스 다음으로 높은 수준 - '93년부터「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한편,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8228;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안)」제정을 추진하는 등 바이오기술 발전을 위한 범부처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 원천기술 확보와 바이오산업 육성에 있어 부처간 역할의 합리적인 조정 및 정부-기업 파트너쉽을 강화할 필요 * 도표 및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07000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