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뉴질랜드,고도첨단기술을 위한 연구개발지원의 증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11-15 00:00:00.000
내용 뉴질랜드 , 고도첨단기술을 위한 연구개발지원의 증진 본 보고서는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High valu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 HVMSS) 에 관한 연구이다 .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HVMSS) 는 그 동안 뉴질랜드 미래의 경제성장과 사회적 복지를 창출해 내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지만 아직은 저개발 영역에 있어 정부가 큰 관심을 가지고 투자준비를 하고 있는 영역이다 . 본 보고서의 다뤄진 주요 연구 분야는 뉴질랜드 정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여러 관련 산업들로 다음과 같은 영역이다 . 1. 연구기관과 산업간의 연결을 증가 2.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업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혁신문화 (innovation culture) 의 변화 3. 연구와 산업간의 격차 감소를 위한 능력과 기술 개발 4.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 HVMSS) 의 주요 하위분야에 국가적 R D 투자를 중점 음식산업과 섬유산업이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기여는 여전히 커 미래에도 뉴질랜드의 중요 산업으로 남겠지만 국제적 추세로 보아 뉴질랜드의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 HVMSS) 의 성장 , 특히 선진기술산업에 의한 높은 생산성의 증가는 좀 더 높은 생산 효율성을 향한 길이며 이것은 뉴질랜드인의 삶의 수준 또한 향상 시킬 것으로 파악된다 .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 HVMSS) 는 산업의 다양성과 전문가들의 가치를 상승 시키고 새로운 기술과 능력의 성장에 기여한다 . 2010 년 뉴질랜드 산업내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뉴질랜드 GDP 의 0.54% 를 나타내었고 연구개발에 관한 총 비용은 전체 GDP 의 1.3% 를 나타냈다 . OECD 국가의 산업 내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GDP 대비 비율은 1.5% 이고 총 연구개발비용은 2.33% 로 뉴질랜드는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 과학혁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nnovation, MSI) 는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 HVMSS) 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한 경제 성장률 촉진을 장려했으며 여러 대학교와 크라운 연구소 ( Crown Research Institute, CRI) 의 성공적인 연구의 상업화를 강조했다 . 과학혁신부가 중점을 둔 선진 기술의 영역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포함된다 . 바이오 테크놀로지 , 제조업 , 전자공학과 관련 산업 , 기계 전자 공학과 로봇공학 , 반응과 검사장치 , 신진재료와 제조기술 ( 플라스틱 포함 ), 해양 과학 기술 , 의학 기술 , 제약 , 농업기술 , 디지털 테크놀로지 , 정보통신기술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한다 . 연구기관에서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로의 기술과 지식전달의 가장 큰 벽을 파악하고 해결방안 제시 · 뉴질랜드와 비슷한 환경의 다른 나라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개발모델들을 연구 , 분석하고 이 분야에서 중심연구기관들의 역할 , 책임 , 기금조식을 조사한다 . · 이 분야의 연구기관의 역할 , 기능 , 자금 창출 옵션을 제공한다 . 본 보고서에는 연구와 산업의 협력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력함을 권고하였다 . · 기술발달을 육가공 , 양모가공 그리고 농업기술활동과 같은 더 많은 전통제조분야에 반영시킨다 . · 관련분야에 속한 공공연구기관들의 역할을 증대시킨다 . · 뉴질랜드의 GDP 와 노동생산성의 증가를 위해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분야 ( HVMSS) 를 위한 기회를 창출한다 . 목차 요약 1. 서론 2. 혁신생태계 (Innovation Ecosystem) 3. 혁신을 향한 장벽과 넘어서기 위한 방법 4. 관련분야 내 주요연구기관의 협력과 테크놀로지 뉴질랜드 ( Technology New Zealand, ATNZ) 를 위한 자세한 권고사항 5. 우선 사항 6. 결론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1033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