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100엔=1,307.77원(2009.11.2) ※ ( )안은 2009년 예산 1. 안심·안전하고 풍부한 사회 실현과 외교에 공헌하는 우주개발이용 추진 : 52,277백만엔(32,705백만엔) 가. 추진방향 ○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의 재해 정보 파악, 지도 작성 등의 국토정보의 축적, 글로벌인 물순환 및 지구 환경 변동 등의 파악, 고정밀 측위 실현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위성의 연구개발·운용 등을 통해서, 안심·안전하고 풍부한 사회를 실현하며 외교에 공헌하는 우주개발 이용을 추진(우주기본계획, 우주개발전략본부 결정, 2009년 6월) 나. 주요 연구개발 프로젝트 ○ 육역관측 기술 위성 2호(ALOS-2) : 5,401백만엔(1,000백만엔) - 육역관측 기술 위성(ALOS)에서 실증된 기술 등을 발전시켜, 재해시의 상황 파악이나 지각 변동의 예측·감시, 지도 작성 등의 국토 정보의 축적, 곡물 등의 생육 상황이나 품질 등의 파악에 이바지하는 육역관측 기술 위성 2호(ALOS-2)의 개발을 실시 (2013년 발사 예정) ○ 물순환 변동 관측 위성(GCOM-W) : 8,064백만엔(5,874백만엔) - 지구 규모의 기후 변동·물순환 메커니즘 해명에 유효한 데이터를 글로벌 규모로 장기간, 계속적으로 관측해 기후 변동 예측과 관련된 정밀도 향상, 기상·해황(海況)의 파악 등에 공헌 (2011년에 발사 예정) ○ 준천정 위성 시스템 : 9,364백만엔(9,300백만엔) - 지리공간정보 활용추진 기본계획 등을 근거로 해 준천정 궤도에 위성을 배치하여 산간부나 건물 그림자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밀의 측위 서비스의 실현 (문부과학성, 총무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이 공동개발, 2010년에 발사 예정) ○ 국제재해 감시체제 등으로의 데이터 제공 등 국제협력 추진 : 1,066백만엔(752백만엔) - 육역관측 기술위성의 화상 제공 등을 통해 국제적인 재해 감시체제에 대한 공헌을 계속하는 등 국제 협력 추진 ○ 우주 이용 촉진 조정 위탁비 : 3,000백만엔(300백만엔) - 우주개발전략본부의 방침에 근거해, 정책 요구가 높은 전략적인 테마를 설정해, 산학관의 경쟁적 환경하에 우주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응을 실시 2. 세계를 선도하는 첨단적인 연구개발 등의 추진 : 59,302백만엔(33,716백만엔) 가. 추진방향 ○ 우주기본계획을 근거로 세계 톱 레벨의 과학 연구 성과의 계속적인 창출을 위해서 일본이 우위성을 가지는 우주 천문학이나 태양계 탐사 등 우주과학 연구나 달탐사 검토에 이바지하는 연구, 환경·에너지 대책 등에 공헌하는 우주 태양광 발전 관련 연구개발 등 첨단적인 연구개발을 추진 나. 주요 연구개발 프로젝트 ○ 금성 탐사기(PLANET-C) : 9,709백만엔(6,063백만엔) - 금성의 대기 순환과정과 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측해, 행성 기상의 근본 원리와 대기 진화의 규명을 연구 ○ 일본 실험동 'KIBO'의 운용·과학 연구 : 15,637백만엔(15,371백만엔) - 국제 수준의 유인 우주기술의 획득·축적, 과학실험 등을 통한 과학적 지견의 획득, 과학기술 외교로의 공헌 등을 위해서 2009년 7월에 완성한 일본 실험동 'KIBO'의 운용·과학 연구 등을 실시하며 산학관 제휴 및 국제 협력에 의한 성과의 창출 등을 추진 ○ 월면 착륙·탐사를 위한 연구 등 : 1,500백만엔(신규) - 일본이 세계를 선도해 달의 기원과 진화를 해명하며, 과학적 이용이나 자원 이용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 달탐사 등에 관한 정부의 검토 상황을 따르면서, 필요한 시스템의 검토나 요소 기술의 기초연구 등을 실시 ○ 우주 태양광 발전 관련 연구개발 : 1,072백만엔(271백만엔) - 지정학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깨끗한 에너지를 이용 가능한 우주에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에너지 전송 기술과 관련된 지상 기술 실증 및 요소기술 연구 등 실현에 필요한 기술의 연구개발을 진행 3. 전략적 산업으로서의 우주산업 기반 강화 : 126,042백만엔(103,782백만엔) 가. 우주 수송시스템 등의 연구개발 ○ H-IIB 로켓 : 1,386백만엔(8,574백만엔) ○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 30,938백만엔(24,829백만엔) - 일본의 국제 약속상의 의무인 국제 우주 스테이션으로의 물자 보급에 불가결한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운용기의 제작 및 H-IIB 로켓에 의한 발사를 실시 ○ GX로켓(LNG 추진계 비행 실증 프로젝트) : 10,800백만엔(10,700백만엔) - 개발을 진행시켜 온 GX로켓에 대해서, 우주개발전략본부의 방침 등에 따라 제2단에 탑재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추진계 기술의 확립을 목표로 한 개발 시험 등을 실시 ○ 소형 고체로켓 : 6,523백만엔(214백만엔) - 세계 최고 수준의 고체 로케트 시스템 기술을 유지하면서 향후의 소형 위성 수요에 기동적·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소형 고체 로켓의 개발을 추진 나. 초소형 위성 연구개발 사업 : 2,200백만엔(신규) ○ '경제재정개혁의 기본방침 2009'(2009년 6월, 각의 결정) 등을 근거로, 지구관측 시스템 구축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 등에서의 자유로운 발상이나 창조력, 우주기관의 기반기술, 중소기업·벤처기업 등이 뛰어난 기술을 결집하여 세계 최첨단의 초소형 위성 시스템의 연구 개발을 추진 다. 산업진흥기반 강화에 이바지하는 전략적 기술 개발 : 4,872백만엔(1,203백만엔) ○ 우주 개발 이용의 효과적·효율적인 추진 및 일본의 로켓·위성 제조 기업의 세계 시장에서의 국제 경쟁력 획득을 목표로 전략적인 연구개발을 실시하여 산업진흥 기반을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