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달탐사의 의의 - 인류의 지적재산 축적 - 인류의 활동영역 확대 - 최첨단 기술력 축적 - 산업기술력의 강화와 국민생활 향상 - 국익의 확보와 국제적 존재감 향상 - 인재육성 및 국민의 꿈 , 자신 , 자랑 2. 달탐사의 목표 ( 어프로치 A: 달 표면조사와 왕복 ) (1) 제 1 단계 : 2020 년경 로봇 달탐사의 구체적 목표 「달의 미개척 지역에서의 로봇에 의한 표면조사와 왕복」 - 크레이커 (crater) 중앙 언덕 및 달 후면의 고지대 등 달의 진화 해명과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미개척 지역에 연착륙 - 자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고도의 이 동형 로봇을 이용하여 지구로 가져올 가치가 있는 암석을 장기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현지에서 분석 , 선별 , 채취 - 채취한 암석을 우주선에 선적시켜 지구로 귀환 - 암석의 원소분석 및 연대분석에 의해 달의 바다 , 높은 지역 , 분지 등 대표적인 지형의 지반물질과 형성과정 등 달 지반형성과 관련된 메커니즘 해명 (2) 다음 단계 : 인간과 로봇의 연계에 의한 달 탐사의 장기적 목표 ( 국제협력 고려 ) 「달 탐사 거점에서 인간과 로봇에 의한 광범위한 현지 조사 」 - 달 표면에 로봇과 함께 인간이 착륙 - 달 표면에 암석시료의 연대 측정장비 , 성분 분석설비 등을 갖춘 탐사거점 구축 - 인간과 인간을 지원하는 고도의 로봇이 협동하여 광범위하게 이동하면서 암석시료를 탐색 , 선별 , 채취 - 로봇이 할 수 없는 고도의 식별 , 판단을 인간이 수행함으로써 암석채취 및 분석의 질적향상 도모하고 , 달 표면의 탐사거점에서 높은 정밀도로 분석함으로써 시료분석의 양적향상을 도모하여 달의 탄생에서 현재까지의 진화과정을 해명 3. 달 탐사 목표 ( 어프로치 B: 달 내부구조 관측 ) (1) 제 1 단계 : 2020 년경 로봇 달 탐사의 구체적 목표 「달 표면 관측망에 의한 장기적인 달 내부구조 탐사 」 - 달 후면을 포함한 복수의 관측 목표지점에 연착륙 - 로봇을 이용하여 내부구조 탐사에 필요한 지진계 , 열유량계 , 자력계 등을 설치하고 장기적으로 관측 - 달 중심핵의 크기 및 내부구조 , 달 후면의 구조차이를 밝혀내 달의 기원을 해명 4. 달 탐사의 목표 ( 어프로치 C: 달에서의 과학관측 ) (1) 제 1 단계 : 2020 년경 로봇 달 탐사의 구체적 목표 「달 후면에 전파천문대 설치」 - 지구로부터의 오로라 및 인공적인 잡음 (noise) 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저주파 관측에 적합한 달 후면에 연착륙 - 지상 및 지구 주회위성에서 관측할 수 없는 저주파수대를 관측하는 저주파 전파관축 설비 설치 - 가장 강한 전파를 방사하고 있는 목성의 전파발생 메커니즘을 해명하여 목성 등 대형 혹성 내부에서의 운동을 해명 - 달 표면에 별의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한 수십 cm 의 망원경을 설치하여 1 년 이상 , 특정 별을 지속적으로 관측 - 달의 미소한 회전운동을 정밀하게 관측하여 달 중심핵이 고체인가 액체인가 해명 (2) 다음 단계 : 인간과 로봇의 연계에 의한 달 탐사의 장기적 목표 ( 국제협력 고려 ) 「대규모 천문대에 의한 장기 천문관측 」 - 고도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달 후면에 인간을 보내 로봇과 협동하면서 저주파수대의 대규모 전파 천문대를 건설 - 100 개 이상이 소자로 구성된 대규모 간섭계를 구축하여 고감도 , 고분해능 관측을 실현 - 태양계 내 혹성으로부터의 전파방사 , 초신성 폭발 이후의 별의 물리상태 , 은하계 내의 우주선 기원 및 운하간 자기장의 물리 등과 관련된 저에너지 전파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지금까지 누구도 본 적이 없는 우주의 모습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과학분야를 창출 * 우주개발전략본부의 달 탐사에 관한 간담회 제 2 회 회의 ( 2009.9.28 ) 첨부자료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