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호주의 파랑기후의 변화와 동향 그리고 이에 따른 해안의 취약성 기후변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풍계(wind systems)의 변화는 호주의 해안에서 조력(wave energy)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변화는 재생가능한 조력발생을 위한 조력 발생 자원을 평가하고, 해안관리자와 연구자들이, 어떤 변화가 호주의 해안 인프라와 환경에 영향을 미칠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정량화 되어야 한다. 해안지역에서 대양의 파도 변화가 미치는 가능한 영향은 이렇다. . 심각한 폭풍우가 몰아칠 때, 해수면 상승, 폭풍 해일, 대양의 파도와 결합한 해안의 범람. . 대형 파도, 혹은 파도의 방향이 바뀌어 해안의 모래와 퇴적물의 변화로 인한 장기간에 걸친 해안의 침식. . 하부 조류의(sub-tidal) 습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다 밑바닥의 동요. 이 연구는 이런 과정이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또한, 전기를 발생하려면 어느 정도의 조력이 필요한지를 양으로 재어보았는데, 이렇게 되면 온실가시 배출을 줄여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위성, 모형, 바다에 설치된 도구 자료를 결합하여 호주의 해안지역에서 평균적인 파도의 상태를 기술한다(계절 대 계절의 변화와 가장 큰 파도 측정을 포함해서) 2. 해안의 파랑기후, 가장 큰 파도의 강도(intensity) 와 빈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아본다. 3. 몇 개의 지역에서 지역의 파도 모형을 이용해 해안에 도달하는 파도의 강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측정한다. 4. 표면의 파도와 폭풍 해일의 결합을 모의 실험할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고 동부 빅토리아 해안에서 이를 실험해본다. 해안에서의 파랑기후의 연간 변화와 동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것이 어떻게 호주의 해안지역에 영향을 미칠까 하는 것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그 동안 호주에서는 장기에 걸친 호주 해안선 감시 프로그램이 없어서 해안 파도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가 부족했다. 해안의 어떤 부분은 다른 지역보다 파도에 더 민감하다. 이 보고서는 파랑기후 변화에 가장 민감한 해안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큰 파도에 지배되는 해안의 지역은 기후 변화에 가장 민감하다. 이 작업은 어떻게 호주의 해안 전체에서 그런 과정을 자동화하고 파도 기후에 가장 민감한 지역을 알아내는 게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 이 방법은 모든 해안의 취약성 평가에 추가적인 중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런 자료는 다른 지형학적인 자료와 함께 이용될 때 가장 큰 의미를 지닌다. 연구 결과 이 연구는 위성 고도 측정기, 세계의 파도 모형, 파도 타기 부표 자료를 결합해 호주 해안의 파도 상태를 말해주는(계절에 따른 변화와 극단의 경우를 포함해서) 파랑기후학을 발생시켰다. 호주의 해안 파랑기후, 극단의 파도가 일 때 그 강도와 빈도의 역사적인 변화를 알아냈다. 선택된 지역의 파도 모형을 이용해 해안 근처의 환경에 미치는 파도의 강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측정했다. 폭풍 해일 모형에서 표면 파도를 패러미터화했고(parameterization) 이를 동부 빅토리아해안을 따라 시험했다. 권장사항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다음 사항을 권장한다. 1. 포주 파랑기후학을 국가적인 척도에 맞게 더 세밀하게 축소한다. 고 해상도의 파랑기후학은 취약한 해안 평가, 해안의 공학적인 문제, 재생가능한 대양의 조력 자원 평가 등에 응용될 것이다. 2. 해안의 파랑기후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변동을 국가 척도에 맞게 예측하여 이런 예측에 대한 잠재적인 해안의 반응을 결정한다. 3. 취약한 해안지역을 확인한 후에는 역사적인 파도 자료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지역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극심한 파도가 이는 지역에서. 4. 기후의 변동과 변화에 대한 해안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장기적인 해양 관측 지점의 네트워크가 설립되어야 한다. 5. 세세한 해안 자료가 있는 지역에서는 더 광범한 기상학적인 조건 아래서 파도와 수력학 모델을 시험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6. 고해상도 재분석 모델이 장기적인 해안의 극단의 해수면 평가를 위해 필요하다. 목 차 요약 1 장. 도입 2 장. 해안 약한 파도지대의 연중 변동과 동향 3 장. 해안의 가장 높은 파도 지대의 연중 변동과 동향 4 장. 파도 기후 변화에 민감한 해안 확인 5 장. 북동부 바스 해협에서 폭풍해일이 일 때 극단의 파도 6 장. 요약과 권장사항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