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독일, 재생 에너지 기술과 CCS의 비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8-26 00:00:00.000
내용 지난 3 년간 전 세계의 CCS 개발을 살짝 들여다 보면 , 독일과 유럽 연합 (EU), 그 밖에 중국 , 미국 , 호주 등의 국가들이 CCS 개발과 검증에 점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 유럽의 경우 , 발전소 부문에 총 41 가지 시범 검증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으며 , 그 중 대부분은 잉글랜드 , 네덜란드 , 노르웨이에 있고 , 독일이 그 뒤를 잇고 있다 . CCS 를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 개발 제도 ) 에 통합하는 문제는 국제적으로 뜨거운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데 , CCS 가 과연 온실 가스를 감축하는 테크놀로지로서 적합하느냐의 문제뿐만 아니라 , 방법론적 , 법적인 문제 또한 꽤나 복잡하다는 것이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 최근의 발표문을 살펴 보면 , CCS 사슬을 전체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2025 년 ~2030 년에야 상업적으로 가능하리라는 전망이다 . 2009 년 EU 는 CCS 명령 (Directive) 을 채택하였으며 , 전체 회원국들은 2 년 내에 이 명령을 국법에 반영하여야 한다 . 이 명령은 EU 전체 회원국들이 CCS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데 필요한 종합 체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 CCS 공정 사슬의 전체를 유럽 배출 거래 계획과 통합함으로써 어떠한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것이며 , CCS 는 안전성과 비즈니스 경영 두 가지 모두에서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 독일 법률은 CCS 사슬의 상이한 절차 단계를 대처하는 데 충분치 않다 . 이때 , CO2 저장과 관련해 큰 문제가 발생하는데 , 바로 CO2 영구 제거 문제이다 . 이러한 이유로 , CO2 영구 저장과 관련한 계획들은 저촉 법에 따라 소수 단체에만 허용되고 있다 . 작금의 지식 격차를 감안했을 때 , CCS 법은 처음에는 R D/ 검증 계획만을 촉진하도록 수립하고 , 이후에 검토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 그러나 적절한 법적 골격이 단기적으로는 반드시 필요하다 . 만약 재생 에너지가 전기 부문에서 계속 팽창세를 이어간다면 , 각각의 재생에너지 테크놀로지 ( 즉 , 역외 / 역내의 풍력 발전 , 태양열 발전소 등 ) 는 이르면 2020 년 경에 CCS 발전소와 경쟁할 수가 있다 . 목차 약어와 기호 목록 표 목록 그림 목록 요약 1. 도입 2. 2007 년- 2009 년의 , 전 세계의 CCS 개발 3. 전기 생산의 CO2 분리 공정 4. CO2 사용 옵션의 분석 5. 구동력과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태도 6. 발전소 테크놀로지에 CCS 도입의 법적 측면 7. CO2 저장 옵션의 분석 8. 재생 에너지와 비교한 CCS 환경 평가 9. 재생 에너지 테크놀로지와 CCS 발전소의 경제학적 비교 10. 국가 시나리오에서 대 CCS 시스템 분석 평가 11. 화석 연료 발전소 용의 CCS 최종 통합 평가 및 연구 권고 12. 참고문헌 13. 부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4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